기초한문문법, 복습 9

기초한문문법, 복습 : 9. 부정형 (문장의 형식에서)

9. 부정형(否定形) * ‘아니다(않다), 아니하다, 못하다, 말다’ 따위를 나타내는 문장의 형태. * 不, 無, 莫, 非, 未, 弗 등을 써서 부정을 나타낸다. * 때로 부분부정도 있고, 이중부정도 있다. (이중부정은 한 번 부정한 내용을 다시 부정하여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9-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仁者無敵 2 君不用其謀 3 河海不擇細流 4 此五子者不産於秦 5 漁父 ... 遂去하여 不復與言하니라 6 行名失己 非士也 (장자1, p.254) ◌ 힌트 1 仁者無敵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2 君不用其謀 군주가 그 계책을 쓰지 않다. 3 河海不擇細流 강과 바다는 작은 물도 가리지 않는다. 4 此五子者不産於秦 이 다섯 사람은 진나라에서 출생하지 않았다. 5 漁父 ... 遂去하여 不復與言하니라 어부는..

기초한문문법, 복습 : 8. 평서형 (문장의 형식 중에서)

◌ 문장의 형식 : 평서형, 부정형, 의문형, 비교형, 가정형, 명령형(금지형), 반어형, 사동형, 감탄형, 기타(한정 / 추측) 8. 평서형(平敍形) * 어떤 사실이 ‘이러하다’, 또는 어떤 것이 ‘무엇이다’고 서술하거나 지정하는 문장 형식. 주로 긍정을 나타낸다. * 종결사가 없는 경우도 있고 종결사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종결사가 있는 경우에는 주로 也, 矣, 焉이 쓰인다. 8-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淸風徐來 2 月出於東山之上 3 白露橫江하고 水光接天이라 4 望美人兮天一方 5 月明星稀 6 天地之間 物各有主 ◌ 힌트 (蘇軾소식의 赤壁賦적벽부 중에서, 해석은-옛 고등학교교과서에서) 1 淸風徐來 맑은 바람이 천천히 불어오다. 2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조금 있으니 달이 동산 위에서 나온다. 3 白露橫江..

기초한문문법, 복습 : 7. 문장의 짜임(구조), 연습문제 : 주술 / 술목 / 술보 / 술목보 / 술보목

7. 문장의 짜임(구조), 연습문제 : 주술 / 술목 / 술보 / 술목보 / 술보목 (1) 주술 구조 : 주어 + 서술어 (2) 주술목 구조 :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3) 주술보 구조 : 주어 + 서술어 + 보어 (4) 주술목보 구조 :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 보어 (5) 주술보목 구조 : 주어 + 서술어 + 보어 + 목적어 : ◇ 다음에 보어가 잘 오는 경우 * 多 少 出 入 登 有 無 難 易 + 보어 * 爲, 如, 在 + 보어 * 於(에, 에서, 에게) +보어 가. 다음 문장의 짜임(구조)을 말해보시오. 보기) 月明 : 달이 밝다 - 주술 구조 1 年少 2 臣事君 3 我登山 4 我讀書於圖書館 (만든 문장) 5 兄與弟空冊 (만든 문장) ◌ 힌트 1 年少 : 나이가 적다 (나이가 적고 어리..

기초한문문법, 복습 : 6. 서술어 + 보어 (술보구문)

6. 서술어 + 보어 * 서술어 다음에 보어가 오는 경우이다. 登, 入, 有, 無, 難, 易 뒤에 보어가 잘 온다고 한다. * 한문에서 목적어와 보어를 구분하는 것이 너무 어려우니, 우리는 그것을 구분 안 해도 된다. 목적어와 보어를 구분 없이 단지 서술어 뒤에 오는 것으로 알아놓자. * 그러나 만약 기어이 구분하라고 한다면 이제 구분하여 서술어 다음에 보어가 오는 경우를 조금이나마 공부하자. 6-0.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登山 2. 入學 3. 歸家 4. 有備 5. 無患 ◉ 풀이 1. 登山 : 오르다/산에 → 산에 오르다. 2. 入學 : 들어가다/학교에 → 학교에 들어가다. 3. 歸家 : 돌아가다/집으로 → 집으로 돌아가다. 4. 有備 : 있다/준비가 → 준비가 있다. 5. 無患 : 없다/근심이 → ..

기초한문문법, 복습 : 5. 서술어 + 목적어

5. 술목 구조 : 서술어 + 목적어 * 목적어는 서술어 다음에 온다. * 그러나 강조하기 위해서, 또는 다른 이유로 목적어를 서술어 앞에 두는 수도 있다. (그래서 문장의 제일 앞에 목적어가 나올 수도 있다.) 5-0. 복습1 : 다음을 해석하시오. 1. 讀書 : 책을 읽다 2. 作文 : 글을 짓다 3. 問道 : 도를 묻다 4. 尊賢 : 어진이를 존경하다 5. 立志 : 뜻을 세우다 6. 事親 : 어버이를 섬기다 7. 開門 : 문을 열다 8. 治國 : 나라를 다스리다 9. 厚生 : 생을 두텁게 하다 (생활을 넉넉하게 하다) 10. 愛國 : 나라를 사랑하다 5-0. 복습2 : 다음을 해석하시오. 11. 我讀書 : 아독서 12. 臣事君 : 신사군 13. 聞一知十 : 문일지십 14. 見利思義 : 견리사의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