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거의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하는 사이버서당과 사이버서원에서 배운 내용과 해당출판사의 책들 + 예전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들에서 배운 내용들을 가지고 와서(토대로 하여) 만들었습니다.
* 그런데 혹시 앞으로 제가 정리한 글속에 오류가 있거나 동영상에서 제가 잘못 설명한 내용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제가 잘못 듣고 잘못 읽고 잘못 이해하고 잘못 정리했기 때문임을 밝힙니다.
1. 주어 + 서술어
* 문장이라면, 먼저
앞에 나온 말은 주어로, 뒤에 나온 말은 서술어로 풀이해본다.
* 한문은 명사도 서술어 자리에 오면 서술어가 된다.
(한문은 한자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품사가 잘 정해진다.)
1-0. 복습 1
1. 日出 : 해가 뜨다
2. 山高 : 산이 높다
3. 江深 : 강이 깊다
4. 民安 : 백성이 편안하다
5. 月明 : 달이 밝다
6. 雪白 : 눈이 희다
7. 冬去 : 겨울이 가다
8. 春來 : 봄이 오다
9. 王問 : 왕이 묻다
10. 花開 : 꽃이 피다
11. 高句麗大國 :
高句麗 / 大國 고구려는 / 큰 나라다.
12. 金先生君子 :
金先生 / 君子 김 선생은 / 군자다.
13. 金庾信新羅人 :
金庾信 / 新羅人 김유신은 / 신라 사람이다.
14. 階伯百濟人
階伯 / 百濟人 계백은 / 백제 사람이다.
1-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家富 / 家貧
2 鳥勝 / 獸勝
3 花紅 / 草綠
4 舟止 / 馬行
5 本立 / 道生
◌ 힌트
1 家富 / 家貧
집이 부유하다 / 집이 가난하다
2 鳥勝 / 獸勝
새가 이기다 / 짐승이 이기다
3 花紅 / 草綠
꽃이 붉다 / 풀이 푸르다
4 舟止 / 馬行
배가 멈추다 / 말이 가다
5 本立 / 道生
근본이 서다 / 도가 생기다 (근본이 확립되다 / 도가 발생하다)
6 子曰
7 孟子曰
8 景行錄云
9 司馬溫公曰
10 宋太宗御製云
◌ 힌트
6 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7 孟子曰 맹자가 말씀하였다.
8 景行錄云 경행록에서 말하였다.
9 司馬溫公曰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10 宋太宗御製云 송태종 어제에 말하였다.
(어제-임금이 몸소 짓거나 만듦. 또는 그 글이나 물건.)
1-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天高
2 日月明
3 李太白詩仙
4 乙支文德未詳其世系 을지문덕 미상기세계
5 栗谷李先生爲兵曹判書 율곡이선생 위병조판서
◌ 힌트
1 天 / 高
하늘이 / 높다.
2 日月 / 明
해와 달이 / 밝다.
3 李太白 / 詩仙
이태백은 / 시의 신선이다.
4 乙支文德 / 未詳其世系
을지문덕은 / 그 세계(대대로 내려오는 계통)가 자세하지 않다.
5 栗谷李先生 / 爲兵曹判書
율곡 이 선생이 / 병조판서가 되었다.
6 草盛 / 兵盛
7 百姓足
8 國家治安
9 周室微弱 三晉彊盛
10 國泰民安
11 天尊地卑
12 生順死安
13 眼橫鼻直
◌ 힌트
6 草盛 / 兵盛
풀이 성하다. / 군대가 강성하다.
7 百姓足
백성이 풍족하다
8 國家治安
국가가 다스려지고 편안하다
9 周室微弱 三晉彊盛
주나라 왕실은 미약하고 삼진은 强盛하였다.
10 國泰民安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살기가) 평안하다.
11 天尊地卑
하늘은 높고 땅은 낮다. / 하늘은 높이 있고 땅은 낮은 데 있다.
12 生順死安
살아서는 (이치를) 순종하고 죽어서는 편안하다.
13 眼橫鼻直
눈은 가로로 있고 코는 세로로 있다.
'기초한문문법,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한문문법, 복습 : 6. 서술어 + 보어 (술보구문) (0) | 2020.06.16 |
---|---|
기초한문문법, 복습 : 5. 서술어 + 목적어 (0) | 2020.05.25 |
기초한문문법, 복습 : 4. 서술어 수식 (0) | 2020.05.13 |
기초한문문법, 복습 : 3. 명사 수식 (0) | 2020.05.12 |
기초한문문법, 복습 : 2.. 병렬(竝列 : 나란히 늘어놓음)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