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술목 구조 : 서술어 + 목적어
* 목적어는 서술어 다음에 온다.
* 그러나 강조하기 위해서, 또는 다른 이유로
목적어를 서술어 앞에 두는 수도 있다.
(그래서 문장의 제일 앞에 목적어가 나올 수도 있다.)
5-0. 복습1 : 다음을 해석하시오.
1. 讀書 : 책을 읽다
2. 作文 : 글을 짓다
3. 問道 : 도를 묻다
4. 尊賢 : 어진이를 존경하다
5. 立志 : 뜻을 세우다
6. 事親 : 어버이를 섬기다
7. 開門 : 문을 열다
8. 治國 : 나라를 다스리다
9. 厚生 : 생을 두텁게 하다 (생활을 넉넉하게 하다)
10. 愛國 : 나라를 사랑하다
5-0. 복습2 : 다음을 해석하시오.
11. 我讀書 : 아독서
12. 臣事君 : 신사군
13. 聞一知十 : 문일지십
14. 見利思義 : 견리사의
15. 父生我身 母鞠我身 : 부생아신 모국아신
◉ 풀이
11. 我 / 讀 / 書 :
나는 / 읽는다 / 책을
12. 臣 / 事 / 君 :
신하는 / 섬긴다 / 임금을
13. 聞 / 一 / 知 / 十 :
듣고 / 하나를 / 안다 / 열을
14. 見 / 利 / 思 / 義 :
보면 / 이로움을 / 생각한다 / 의로움을
15. 父 / 生 / 我身 / 母 / 鞠 / 我身
아버지는 / 낳으시고 / 내 몸을
어머니는 / 기르셨도다 / 내 몸을
5-0. 복습3 : 다음을 해석하시오.
16 漢用三傑
17 高句麗는 以十月에 祭天하다
18 項籍少時學書不成
19 沛公攻穎川
20 天子統三公
◉ 풀이
16 漢 / 用 / 三傑
한나라는 / 등용했다 / 세 사람의 뛰어난 인물을
17 高句麗는 / 以十月에 / 祭天하다
고구려는 / 시월에 / 하늘에 제사지냈다.
18 項籍 / 少時 / 學書 / 不成
항적은 / 어렸을 때 / 글을 배웠으나 / 이루지 못했다.
19 沛公 / 攻 / 穎川
패공이 / 공격했다 / 영천을
20 天子 / 統 / 三公
천자는 / 통솔한다. / 삼공을
5-1. 다음 낱말을 해석하시오.
1 執中 집중
2 種豆 종두
3 謀事 모사
4 閉口 폐구
5 用大 용대
6 裂地 열지 (찢을 렬, 찢어질 렬)
7 執鼠 집서
◌ 힌트
1 執中 중간을 잡다
2 種豆 콩을 심다
3 謀事 일을 괴하다
4 閉口 입을 다물다
5 用大 큰 것을 쓰다
6 裂地 땅을 찢다, 땅을 나누다 (裂地而封之 땅을 나누어 그를 봉하였다.)
7 執鼠 쥐를 잡다
8 仰天 앙천
9 忘食 망식
10 卜相 복상
11 失對 실대
12 尙志 상지
13 解憂 해우
14 責善 책선
◌ 풀이
8 仰天 하늘을 우러러보다
9 忘食 밥 먹기를 잊다
10 卜相 정승을 점치다. 재상을 뽑다.
11 失對 대답을 잘못하다. 대답할 바를 잃다.
12 尙志 뜻을 숭상하다 / 뜻을 고상히 한다.
13 解憂 근심을 풀다
14 責善 선을 권함, 친구끼리 옳은 일을 하도록 서로 권함
5-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好讀書
2 據關中
3 利天下
4 失天下
5 掩其口
6 復故王
◌ 풀이
1 好讀書 책읽기를 좋아하다
2 據關中 관중을 점거하다
3 利天下 천하를 이롭게 하다. 천하에 이롭다.
4 失天下 천하를 잃다
5 掩其口 그(의) 입을 막다(가리다)
6 復故王 옛 임금을 복위시키다
7 斷髮文身
8 不慕榮利
9 呑二周而亡諸侯
10 傲物輕世
11 愛親敬長
◌ 풀이
7 斷髮文身 머리를 짧게 자르고 몸에 문신을 새김
8 不慕榮利 영화와 재리(財利)를 사모하지 않다
9 呑二周而亡諸侯 이주(東周•西周)를 병탄하고 제후를 멸망시켰다.
10 傲物輕世 남에게 오만하고 세상을 경시하다.
11 愛親敬長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다
'기초한문문법,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한문문법, 복습 : 7. 문장의 짜임(구조), 연습문제 : 주술 / 술목 / 술보 / 술목보 / 술보목 (0) | 2020.06.19 |
---|---|
기초한문문법, 복습 : 6. 서술어 + 보어 (술보구문) (0) | 2020.06.16 |
기초한문문법, 복습 : 4. 서술어 수식 (0) | 2020.05.13 |
기초한문문법, 복습 : 3. 명사 수식 (0) | 2020.05.12 |
기초한문문법, 복습 : 2.. 병렬(竝列 : 나란히 늘어놓음)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