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문문법, 복습

기초한문문법, 복습 : 4. 서술어 수식

풀빛 너머 2020. 5. 13. 17:53

. 서술어를 수식

* 부사가 서술어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이다.

* 반드시 필(, 반드시), 모 방(, 바야흐로), 착할 선(, ),

가장 최(, 가장), 정성 성(, 진실로, 참으로) 들은 부사로 쓰여

보통 서술어 앞에서 그 서술어를 수식한다.

 

4-0. 복습 1. 에 들어갈 한자를 생각해보시오.

1. 반드시 이기다 :

2. 백번 듣다 :

3. 크게 기뻐하다 :

4. 구름처럼 모이다 :

5. 천천히 오다 :

 

풀이

1. 반드시 이기다 : 必勝

2. 백번 듣다 : 百聞

3. 크게 기뻐하다 : 大悅

4. 구름처럼 모이다 : 雲集

5. 천천히 오다 : 徐來

 

보기 : (가장 최), (다 함), (다를 차 : 조금 차)

(더욱 우), (오로지 전), (심할 심)

6. 가장 길다 :

7. 오로지 기르다 ;

8. 다 오다 :

9. 조금 물러나다 : 退

10. 더욱 좋다, 더욱 아름답다 :

 

풀이

6. 가장 길다 : 最長

7. 오로지 기르다 ; 專養

8. 다 오다 : 咸來

9. 조금 물러나다 : 差退

10. 더욱 좋다, 더욱 아름답다 : 尤美

 

4-0. 복습 2. 조금 더 보기

* 重出 중출 : 거듭 나왔다.

* 小異 소이 : 조금 다르다.

* 誠美 성미 : 진실로 아름답다.

* 絶無 절무 : 전혀 없다, 절대로 없다

 

에 들어갈 말을 생각해 보시오.

보기 : , , , ,

1 잘 다스리다 :

2 먼저 지나가다 :

3 홀로 맑다 :

4 더욱 밝다(밝히다) :

5 장차 가다 :

힌트

보기 : (먼저), (더욱), (장차), (), (홀로)

1 잘 다스리다 : 善治

2 먼저 지나가다 : 先過

3 홀로 맑다 : 獨淸

4 더욱 밝다(밝히다) : 益明

5 장차 가다 : 將行

 

4-0. 복습 3. 다음을 해석하시오. (모두 문장으로 해석하시오.)

1 秦始皇大怒 : 진시황대노

2 眞興王大悅 : 진흥왕대열

3 陽春方來 : 양춘방래

4 淸風徐來 : 청풍서래

5 衆鳥高飛 : 중조고비

6 百花滿發 : 백화만발

7 與此小異 : 여차소이

 

풀이

1 秦始皇 / 大怒 : 진시황이 / 크게 성내다.

2 眞興王 / 大悅 : 진흥왕이 / 크게 기뻐하다.

3 陽春 / 方來 : 따뜻한 봄이 / 바야흐로 오다.

4 淸風 / 徐來 : 서늘한 바람이 / 살살 불다.

5 衆鳥 / 高飛 : 뭇 새가 / 높이 난다.

6 百花 / 滿發 : 온갖 꽃이 / 활짝 핀다.

7 與此 / 小異 : 이와 / 조금 다르다.

 

8 人心朝夕變이요 山色古今同이라

9 家貧市遠하여 絶無兼味하고 ~

10 善事父母爲孝니라

11 鳥久止必帶矢

 

풀이

8 人心 / 朝夕變이요 山色 / 古今同이라 :

사람의 마음은 / 아침저녁으로 변하나

산색(산의 경치)/ 예나 지금이나 한가지다.

 

9 家貧 市遠하여 絶無 兼味하고 ~

집이 / 가난하고 시장이 / 멀어 전혀 없고 / 좋은 반찬이

10 善事父母爲孝니라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 / 효도이다.

 

11 鳥久止必帶矢

새도 오래 머무르면 반드시 화살에 맞는다.

(오래 안일에 빠지면 위험이 온다.)

 

4-1. 다음을 해석하시오.

* 日用 날마다 쓰다

* 共笑 함께 웃다

* 遲歸 늦게 돌아오다

* 恒存 : 항상 있다. 항상 (~) 있다

* 深願 : 깊이 원하다

* 旣得 : 이미 얻다

8 遠施 : 멀리 베풀다(베풀어지다)

 

4-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舟已行矣

2 君臣固守

3 南取漢中

4 相與爲一

5 萬理畢具

 

힌트

1 舟已行矣 : 배가 이미 지나갔다

2 君臣固守 : 임금과 신하가 굳게 지키다

3 南取漢中 : 남쪽으로 한중을 취하다

4 相與爲一 : 서로 더불어 하나가 되다

5 萬理畢具 : 온갖 이치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

 

6 東方初定

7 明旦遂進軍

8 盜賊群起

9 盜賊悉降

10 群賢畢至 少長咸集

 

힌트

6 東方初定 : 동쪽 지방이 처음 평정되다.

7 明旦遂進軍 : 다음 날 아침 마침내 진군하였다.

8 盜賊群起 : 도적이 떼지어 일어났다.

9 盜賊悉降 : 도적이 모두 항복하였다.

10 群賢畢至 少長咸集 : 여러 현인이 모두 이르고

젊은이와 어른이 모두 모이니

 

11 旣至於此

12 剛直太過

13 民必和矣

14 花潭 家甚貧

15 周道日衰

 

힌트

11 旣至於此 : 이미 여기에 이르다.

12 剛直太過 : 강직함이 너무 지나치다.

13 民必和矣 백성들이 반드시 화목할 것이다.

14 花潭 家甚貧 화담(서경덕)이 집이 매우 가난하였다.

15 周道日衰 주나라 도(정치)가 날로 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