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주(註)에 나타나는 어떤 표현들
* 사이버서원에서 동영상 강의를 듣거나 혼자서 한문을 공부할 때 주(註) 등에 나타나는 표현을 조금 살펴봄.
44.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立建也
2 巧好 令善也 (巧, 好. 令, 善也.)
3 務專力也 本猶根也 (務, 專力也. 本, 猶根也.) : 務는 專力也요 本은 猶根也라)
4 此言~ (此는 言~라)
①此言理之本然也
②此言下愚之事 當背而去也
5 學之爲言 效也
政之爲言 正也라
◌ 힌트
1 立建也 (立, 建也 : 立은 建也요 ~)
입(立)은 세움이요
立敎 第一 (입교 제일)
立은 建也요 敎者는 古昔聖人敎人之法也라 凡十三章이라
입(立)은 세움이요 교(敎)는 옛날 성인(聖人)이 사람을 가르치던 법이다. 모두 13장이다.
2 巧好 令善也 (巧, 好. 令, 善也. : 巧는 好요 令은 善也라)
교는 아름다움이요, 령은 잘함(또는 좋게 함)이다.
3 務, 專力也. 本, 猶根也. : 務는 專力也요 本은 猶根也라)
무(務)는 전력(專力)하는 것이요, 본(本)은 근(根)과 같다.
4 此言~ (此는 言~라) : 이는 ~을 말한 것이다.
①此는 言理之本然也라
이는 이치가 본래 그러함을 말한 것이다.
②此는 言下愚之事를 當背而去也라
이는 하우의 일을 마땅히 배척하여 버려야 함을 말한 것이다.
5 學之爲言 效也라
학이라는 말은 본받는다는 뜻이다. (학이 말 됨은, 학이라는 글자의 뜻은)
政之爲言은 正也라
정사(政事)란 말은 바로잡다의 뜻이다. (정이 말 됨은, 정이라는 글자의 뜻은)
44-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愚謂~
2 愚按~ / (按~)
按左傳~
3 一本 (~一本~)
都一本答
4 ...本作~ (...本作~)
...或作~
...當作~
程子曰 親當作新
◌ 힌트
1 愚謂~ : 내가 생각하건대~, 나는 생각하기를~
2 愚按~ / (按~) : 내가 살펴보건대~, / 살펴보건대~
按左傳~ : 좌전을 살펴보면 ~
3 一本 (~一本~) : (~이) 어떤 본에는 (~로 되어 있다.)
都一本答 : 도는 어떤 본에는 답으로 되어 있다.
4 本作 (~本作~) : 본래 (~로) 되어 있다.
或作 : 혹은 (~로) 되어 있다.
當作 : 마땅히 (~로) 되어야 한다.
程子曰 親은 當作新이라 : 정자가 말씀하였다. “친은 마땅히 신이 되어야 한다.”
5 言~ :
疑~ :
恐~ :
竊~ :
6 讀如字
7 事見(현)
①餘見前篇
②百里奚 事見前篇
◌ 힌트
5 言~ : (~을) 말한 것이다.
疑~ : ②~인 듯하다.
恐~ : ②(부사) 아마도
竊~ : 적이, 가만히, 마음속으로, 삼가 (자신을 낮춘 표현)
6 讀如字 : 본래의 글자대로 읽는다. (원래의 글자대로 읽어라.)
(한 글자에 여러 훈과 음이 있을 때 첫 번째로 읽히는 것을 말한다고 함)
7 事見(현) : 그 일은 ~에 보인다.
①己歸는 謂己之所歸라 餘見前篇하니라
기귀는 자기의 돌아갈 곳을 말한다. 나머지는 전편에 보인다.
②百里奚는 事見前篇하니라
백리해는 일이 전편(萬章下)에 보인다.
44-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生下今文有也字
2 來下今文無助字
3 閒字坐字參字今文無
4 守貴守富之孝下有也字
5 已下二字今文無 于今文作於
6 父者兄者君者下今文各有也字
◌ 힌트
1 生下今文有也字
生 아래에 금문효경에는 也자가 있다.
2 來下今文無助字
來 아래에 금문효경에는 助자가 없다.
3 閒字坐字參字今文無
閒字, 坐字, 參字는 금문효경에는 없다.
4 守貴守富之孝下有也字
守貴, 守富, 之孝 아래에 금문효경에는 也자가 있다.
5 已下二字今文無 于今文作於
已下 2자는 금문효경에 없고, 于는 금문효경에 於로 되어 있다.
6 父者兄者君者下今文各有也字
父者와 兄者와 君者 아래에 금문효경에는 각각 也자가 있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강의에서 배움 (가) : 之의 용법 중에서 ‘을/를. 서술어 앞에 오는 말들 (0) | 2020.08.08 |
---|---|
기초한문문법 45. 종결사 (복습), 예문 별로 없음 (0) | 2020.07.23 |
기초한문문법 : 43-3. 문장의 형식 : 사동형 / 피동형 (0) | 2020.06.25 |
기초한문문법 43-2. 문장의 형식 : 비교형 / 명령형 (금지형) (0) | 2020.06.11 |
기초한문문법 43-1 : 문장의 형식 : 가정형 / 반어형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