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가정형 : 조건 (~면) / 가정 (만약 ~면)
* 문맥으로 보아 조건이 될 때가 있다.
* 不~ 不~의 형태로 쓰여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 ‘~면’ 할 때, ‘則’ 이 잘 쓰인다.
* ‘若(만약) ~ 則(~면)’, ‘如(만일) ~ 則(~면)’ 의 형태로도 잘 쓰인다.
* 雖가 들어가서 ‘비록 ~일지라도’의 뜻으로 가정을 나타내기도 한다.
4-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疑人勿用
2 朝聞道 夕死可矣
3 玉不琢 不成器
4 不入虎穴 不得虎子
5 不登高山 不知天之高也
◌ 힌트
1 疑人勿用 用人勿疑
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 말고, 사람을 쓰거든 의심하지 말라.
2 朝聞道 夕死可矣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가능하다.
3 玉不琢이면 不成器요 人不學이면 不知道니라
옥은 다듬지 않으면 그릇을 이루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4 不入虎穴 不得虎子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를 얻지 못한다.
5 不登高山 不知天之高也
높은 산에 오르지 않으면 하늘의 높음을 알지 못한다.
4-2. 다음을 해석하시오. (則이 쓰인 경우)
1 水至淸則無魚
2 此勝則彼劣
3 月滿則缺
4 國亂則思賢臣
5 性旣本善하면 則情亦宜無不善한데 ~
◌ 힌트
1 水至淸則無魚 人至察則無徒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친구가 없다.
2 此勝則彼劣
이것이 나으면 저것은 못하다.
3 月滿則缺하고 物盛則衰니라
달은 차면 기울고, 만물은 번성하면 쇠잔해진다.
4 國亂則思賢臣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신하를 생각한다.
5 性旣本善하면 則情亦宜無不善한데 ~
성(性)이 이미 본디 선하다면 정(情)도 또한 마땅히 선하지 않음이 없사온데 ~
4-3.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春若不耕 秋無所望
2 若不義之物 則不取也
3 貧若勤學 可以立身
4 若不修德 一世而亡
5 如求之則與之
6 如入則孝於家
7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8 如恥之인댄 莫若師文王이니 ~ (이루상, 7)
◌ 힌트
1 春若不耕 秋無所望
봄에 만약 밭을 갈지 않는다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다.
2 若不義之物 則不取也
만약 의롭지 않은 물건이라면 취하지 않는다.
3 貧若勤學 可以立身
가난하더라도 만약 부지런히 배우면 몸을 세울 수 있다.
4 若不修德 一世而亡
만약 덕을 닦지 않으면 한 세대에서 망한다.
5 如求之則與之
만일 이를 구하면 그에게 주라.
6 如入則孝於家 出則忠於國
만일 집에 들어가면 집(의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집에서 나가면 나라(의 임금)에(게) 충성한다.
7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만일 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시를 짓지 못하면) 금곡주수에 따라 벌하리라.
8 如恥之인댄 莫若師文王이니 ~ (이루상, 7)
만일 그것을 부끄러워할진댄 문왕을 본받는 것만 못하니, ~
4-4. 다음을 해석하시오. (雖 : ‘비록 ~일지라도, 가정)
1 材雖美 不學不高
2 天雖崩 牛出有穴
3 國雖大 好戰必亡
4. 참고 : 幼而不學 老無所知 (而 : 만일)
◌ 힌트
1 材雖美 不學不高
재주가 비록 훌륭하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높아지지 않는다.
2 天雖崩 牛出有穴
하늘이 비록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3 國雖大 好戰必亡
나라가 비록 크더라도 싸움을 좋아하면 반드시 망한다.
4. 참고 : 幼而不學 老無所知 (而 : 만일)
어려서 만일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다.
5. 반어형
* 의문의 형태를 지녔으나 반어적인 뜻을 나타낸 문장
(반어 : 뜻을 강조하기 위하여, 원래 하고자 하는 말을 반대로 표현하는 말.)
* 何, 安, 胡, 豈, 焉 등을 쓰거나, 문장 뒤에 乎, 哉, 邪(어조사 야) 등을 씀
5-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不亦說乎
2 何不畏衆口乎
3 來言不美 去言何美
4 積功之塔 豈毁乎
5 子曰 後生可畏니 焉知來者之不如今也리오 (9-22)
◌ 힌트
1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2 何不畏衆口乎
어찌 여려 사람의 입을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3 來言不美 去言何美
오는 말이 곱지 않는데 가는 말이 어찌 고우랴.
4 積功之塔 豈毁乎
공든 탑이 어찌 무너지랴.
5 子曰 後生可畏니 焉知來者之不如今也리오 (9-2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후생이 두려워할 만하니 후생의 장래가 나의 지금보다 못할 줄을 어찌 알겠는가?
5-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我豈逃者哉
2 安知其將來不如我之今日乎
3 子惡得與魏成比也
4 惡能施于後世哉
5 我豈能爲五斗米 折腰向鄕里小兒耶
◌ 힌트
1 我豈逃者哉
내가 어찌 도망칠 사람이겠는가?
2 安知其將來不如我之今日乎
그의 장래가 나의 오늘날만 못할 줄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3 子惡得與魏成比也
그대가 어찌 위성과 견줄 수 있겠는가?
4 惡能施于後世哉
어찌(어떻게) 후세에 명성을 베풀(펼칠) 수 있겠는가?
5 我豈能爲五斗米 折腰向鄕里小兒耶
내가 어찌 다섯 말 곡식 때문에 시골의 어린아이에게 허리를 굽힐 수 있겠는가?
5-3.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王侯將相 寧有種乎
2 孰敢不正
3 何待於外哉
4 非以其無私耶 故能成其私 (노자, 7장)
5 君子去仁이면 惡乎成名이리오 (이인, 4-5)
6 孟子曰 不仁者는 可與言哉아
◌ 힌트
1 王侯將相 寧有種乎
임금과 제후, 장군과 정승이 어찌 씨(혈통)가 있겠는가?
2 孰敢不正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3 何待於外哉
어찌 밖에서 기대하리요?
4 非以其無私耶 故能成其私 (노자, 7장)
그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그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5 君子去仁이면 惡乎成名이리오 (이인, 4-5)
군자가 인을 떠나면 어찌 이름을 이룰 수 있겠는가? (②어디에서, 何所成其名乎)
6 孟子曰 不仁者는 可與言哉아 (이루상, 8)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불인한 자와 더불어 말할 수 있겠는가?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한문문법 : 43-3. 문장의 형식 : 사동형 / 피동형 (0) | 2020.06.25 |
---|---|
기초한문문법 43-2. 문장의 형식 : 비교형 / 명령형 (금지형) (0) | 2020.06.11 |
43. 문장의 형식 : 평서형, 부정형, 의문형 (0) | 2020.05.18 |
42. 이 시(是) (0) | 2020.04.26 |
41. ~者 ~也 : ~는 ~이다, ~라는 것은 ~이다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