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문연습

재등록 : 34. 어찌 하(何)

풀빛 너머 2020. 3. 31. 09:06

34. 어찌 하()

* ‘어찌’, ‘무엇등의 뜻으로 의문문을 만든다.

* 반어형을 만들기도 한다.

 

34-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 何也

  * ~ 寡人之民不加多何也잇고

2 ~ 如何

  * 好樂何如하니잇고

  * 曰 以子之矛陷子之楯인댄 何如

  * 吾欲之南海하니 何如

3 ~ 如之何

4 何以

  * 怪之하여 曰 何以附耳相語

  * 不敬이면 何以別乎리오

  * 吾王不遊吾何以休吾王不豫吾何以助리오

  * 子曰 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리오

5 何以故

 

힌트

1 ~ 何也 (何與, p.36)

~는 어떠한가?, ~는 무엇인가?, ~는 어떻습니까?, ~는 어째서입니까?

1-1 ~ 寡人之民不加多何也잇고

과인의 백성들이 더 많아지지 않음은 어째서입니까?

2 ~ 如何 (=何如)

~는 어떠한가?, ~는 어떻습니까?, ~는 어째서입니까?

2-1 好樂何如하니잇고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p.44)

2-2 曰 以子之矛陷子之楯인댄 何如

어떤 사람이 묻기를, 그대의 창으로 그대의 방패를 뚫으면 어떻게 됩니까?

2-3 吾欲之南海하니 何如

내가 남해에 가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 如之何

그것은 어떠한가? 그것은 어떻습니까?

 

4 何以

무엇 때문에, 어째서

4-1 怪之하여 曰 何以附耳相語

(황희)이 그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여 말하기를, 무엇 때문에 귀에 대고

말합니까? (의문문이라서 以何를 도치시켜 何以로 했음, ‘무엇 때문에’)

4-2 不敬이면 何以別乎리오

공경하지 않으면 무엇으로써 구분하겠는가?

4-3 吾王不遊吾何以休吾王不豫吾何以助리오

우리 임금님이 유람하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쉬며,

우리 임금님이 즐기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도움을 받으리오.

4-4 子曰 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리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않으며, 예를 행함에

공경하지 않으며, 초상에 임하여 슬퍼하지 않는다면 내가 무엇으로써

그를 관찰하겠는가? (3-28)

(何以 : 무엇 때문에, 무엇으로써,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5 何以故

어째서, 무엇 때문에 (어째서인가?, 무슨 까닭인가?)

 

34-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問曰 二牛何者爲勝

2 公孫丑曰 何謂也

3 夫子曰 何爲不去也

4 月梅曰 客從何處來乎

5 何難之有

 

힌트

1 問曰 二牛 何者爲勝

물어 말하기를, 소 두 마리 중 어느 것이 낫습니까?

2 公孫丑曰 何謂也잇고

공손추가 말하였다. 무엇을 이름입니까?, 무슨 말씀입니까?

(가 올 때 가 쓰인다면 는 의문조사)

3 夫子曰 何爲不去也

선생께서 말씀하시기를, 어째서 떠나버리지 않습니까?

(-‘때문에’. 爲何(무엇 때문에)가 의문문이라서 何爲로 도치되었음)

4 月梅曰 客從何處來乎아하니 客曰 老媼不知我乎我是李道令也로라

월매가 말하기를, 손님은 어느 곳에서 오셨소? 하니,

손이 노파는 나를 알지 못하겠는가? 내가 바로 이 도령이오.”

5 何難之有 (=何有)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何有)

 

6 伯夷叔齊何人也

7 問君何能爾

8 問客何爲來

9 夫讀書者將以何爲也

10 夫大氏者何人也乃高句麗之人也

 

힌트

6 伯夷叔齊何人也

백이와 숙제는 어떠한 사람입니까?

7 問君何能爾 (도연명(陶淵明)의 시()에서 한 구절)

그대에게 묻노니,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

(:여기서는 과 같은 뜻. ‘그러할 이’, 서술어로 쓰였음)

8 問客何爲來

그대에게 묻노니, 무엇하러 왔나요?

9 夫讀書者將以何爲也

무릇 독서라는 것은 장차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10 夫大氏者何人也乃高句麗之人也

其所有之地何地也乃高句麗之地也로대 ~

대저 대씨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바로 고구려 사람이다. 그가 소유했던 땅은 어떤 땅인가? 바로 고구려 땅인데 ~

 

더 보기

1 吾何所怕耶 (두려워할 파)

우리가 무엇을 두려워하랴?

2 肝尙在彼하니 何不廻歸

간이 아직 저기에 있으니,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