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문연습

재등록 : 27. 이중부정 無不, ...

풀빛 너머 2020. 3. 4. 17:49

26. 이중부정 : 부정어가 두 개 나오는 경우

* 부정문은 : , , , , , 등의 부정사를 사용한다.

* , , , , : 각각 고유의 뜻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 통용하여 쓰기도 한다.

* 부정어 두 개가 같이 쓰여 無不, 非不, 莫不, 莫非, ••• 로 쓰이면

강조또는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 無不, 莫不, 莫非 : ~않음이 없다. ~않은 것이 없다. ~아님이 없다.

非不 : ~않은 것이 아니다.

* 이중부정일 때는 부정어 두 개가 없는 것처럼 보고 읽어도 된다.

그러나 해석연습 할 때는 부정어 두 개를 살려서 하면 된다.

 

26-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無不敬

2 無不到

3 無不陷也

4 無不盡也

5 無不通知 .

6 無非至善

7 無非敎也 :

 

힌트

1 無不敬 : 공경하지 않음이 없다. (=無不敬也)

2 無不到 : 이르지 않음이 없다. (=無不到也)

3 無不陷也 : 뚫지 못하는 것이 없다.

4 無不盡也 : 다하지 않음이 없다.

5 無不通知 : 통하여 알지 못함이 없다.

6 無非至善 : 지선(지극한 선) 아님이 없다.

7 無非敎也 : 가르침 아님이 없다.

 

7 莫不感激

8 莫不感悅

9 石非不足

10 城非不高也

11 身無不修也

 

힌트

7 莫不感激 : 감격하지 않음이 없다.

8 莫不感悅 : 감격하여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9 石非不足 : 돌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10 城非不高也 : 성이 높지 않은 것이 아니다.

11 身無不修也 : 몸이 닦여지지 않음이 없다.

 

26-2 다음을 해석하시오.

無所不爲 : 하지 못하는 바가(것이) 없다.

無所不知 : 알지 못하는 바가(것이) 없다.

無所不通 : 통하지 않는 바가(것이, 곳이) 없다.

無所不往 : 가지 못하는 바가(곳이) 없다. (, , p.80)

無所不容 : 용납하지 않는 바가(것이) 없다.

無所不至 :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 (도달하지 않는 곳이 없다.)

無物不成 : 물건이 없으면 이루어지지 않는다.

물건마다 이루지 못함이(이루어지지 않음이) 없다.

무엇이든지 완성하지 않음이 없다.

氣無所不入 : 기는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27 이중부정 2 : ‘~, •••’ / 不可不, 不得不, 未嘗不, •••

* ‘~... : ’~마다 ... 않음이 없다‘ ‘어느 ~~않음이 없다

* 不可不 : ~않아서는 안 된다, ~(하지) 않을 수 없다. : ~해야 한다

* 不能不 : ~(하지) 않을 수 없다.

* 不得不 : ~(하지) 않을 수 없다.

* 未嘗不 : 일찍이 ~한 적이 없다.

* 不能無~ : ~없을 수 없다.

 

27-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無時不明 = 無時而不明 : (~ ... 용법)

2 無時而不習

3 無適而不忠

4 無一物不得其所

5 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힌트

1 無時不明 = 無時而不明 : 어느 때이고 밝지 않음이 없다.

2 無時而不習 : 어느 때이고 익히지 않음이 없다.

3 無適而不忠 : 어디를 갈지라도(가든) 충성하지 않음이 없었다(없다).

4 無一物不得其所 : 한 물건이라도 올바른 곳(제 곳)을 얻지 못함이 없다.

5 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동()하지 마는 것이다.

 

6 不可不讀

7 不可不公平

8 不可不知

9 不可不實踐

10 不敢不北伐

 

힌트

6. 書不可不細讀 : 책은 자세히 읽지 않을 수 없다.

7 處心不可不公平 : 마음은 공평하지 않을 수 없다.

8 父母之年不可不知也~ : 부모님의 연세는 알지 않아서는 안 된다(안 되니~).

9 此道理不可不着實踐履~ : 이러한 도리를 착실히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되니 ~

10 ... 今日所以不敢不北伐之由 : 오늘날 북벌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를 .. 말하다.

 

27-2. 다음을 해석하시오. (종합문제)

1 不可不察

2 無不可師

3 人無有不善하며 水無有不下니라 :

4 性則天理未有不善者也니라 :

5 及論功 無不以溫達爲第一 :

 

힌트

1 不可不察 :

살피지 않을 수 없다. (않으면 안 된다)

2 無不可師 :

스승 삼을 만하지 않은 것이 없다.

3 人無有不善하며 水無有不下니라 :

사람은 불선한 사람이 없으며, 물은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것이 없다. (

4 性則天理未有不善者也니라 :

성은 바로 천리이니, 불선함이 있지 않다.

5 及論功 無不以溫達爲第一 :

공을 논의함에 이르러 온달을 제일로 삼지 않음이 없었다.

 

6 傍聽者莫不色動이라 :

7 不爲不多焉마는 :

8 爲無爲 則無不治 :

9 是故君子無所不用其極이니라

10 蓋是四者皆心之用而人所不能無者

 

힌트

6 雄辯滔滔하고 眼光如電이어늘 傍聽者莫不色動이라 :

웅변이 도도하고 눈빛이 번개와 같아

곁에서 듣는 자들이 안색이 변하지 않음이 없었다.

7 萬取千焉하며 千取百焉不爲不多焉마는 :

만에서 천을 가지고 천에서 백을 가짐이 많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

8 爲無爲 則無不治 :

무위를 하게 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9 是故君子無所不用其極이니라 :

이러므로 군자는 그 극(표준)을 쓰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10 蓋是四者皆心之用而人所不能無者:

(대개) 네 가지는 다 마음의 쓰임이니, 사람이 없을 수 없는 것이다.

 

11 人之所畏 不可不畏 :

12 苟得其養이면 無物不長이요 苟失其養이면 無物不消니라 :

13 每與臣論此事未嘗不歎息...니이다

 

힌트

11 人之所畏 不可不畏 :

남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두려워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12 苟得其養이면 無物不長이요 苟失其養이면 無物不消니라 :

그러므로 만일 그 기름을 잘 얻으면 물건마다 자라지 못함이 없고,

만일 그 기름을 잃으면 물건마다 사라지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다음의 은 부사()로 처리하면 해석이 부드럽다.)

13 每與臣論此事未嘗不歎息...니이다

매양 신과 이 일을 논의할 때에 일찍이 탄식하지 .... 않은 적이

없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