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하여금 사(使), 부릴 사(使)
* 使는 ‘~로 하여금 ... 하게 하다’의 뜻으로 쓰이고,
使 다음에 ‘<누구로> 하여금’ 할 때 누구에 해당하는 말은 자주 생략된다.
* 단순히 ‘부리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父母使我 勿逆勿怠)
* 문장 첫머리에 와서 ‘가령 ~한다면’, ‘만일 ~한다면’으로도 쓰인다.
24-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定公 ... 使仲由爲季氏宰 ...
2 大夫人 ... 使婢盡買其肉하여 ~
3 使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
4 齊王 ... 使田忌將之 ~ (전기-사람 이름)
5 使民衣食有餘면 ~
◉ 힌트
1 定公 ... 使仲由爲季氏宰하여 ...
정공이 중유로 하여금 계씨의 가신을 삼아 ...
2 大夫人 ... 使婢盡買其肉하여 而埋于場下하니
(홍서봉의) 어머니는 계집종으로 하여금 그 고기를 다 사서 담장 아래에
묻게 하니, ...
3 此勝則彼劣이니 使牛聞之면 寧無不平之心乎아
이것이 나으면 저것은 못한 것이니 소로 하여금 그것을 듣게 한다면
어찌 불평하는 마음이 없겠습니까?
4 齊威王이 因起兵하여 使田忌田嬰田盼將之하고 孫臏爲師하여 以求韓할새 ~
제나라 위왕이 인하여 군대를 일으켜 전기, 전영, 전반으로 하여금 군대를
거느리게 하고 손빈을 軍師로 삼아 한나라를 구원하게 하여 ~
5 使民衣食有餘면 自不爲盜리니 安用重法耶오
백성으로 하여금 의식에 여유가 있게 하면 스스로 도둑이 되지 않으리니
어찌 중법을 쓰겠는가?
6 天帝使我長百獸
7 此習使人志不堅固
8 予 ... 欲使人人易習하여 ~
9 王使王女率六部 ~
10 ~ 乃使荀息假道於虞 ~ (순식-사람 이름, 우-나라 이름)
◉ 힌트
6 天帝使我長百獸
천제가 나로 하여금 온갖 짐승의 우두머리가 되게 하셨다.
7 此習이 使人志不堅固하고 ...
이러한 습관이 사람으로 하여금 뜻을 견고하지 못하게 하며 ...
8 予 ... 欲使人人으로 易習하여 便於日用耳니라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9 新羅 儒理王 使王女二人으로 分率六部女子하여 ~
신라 유리왕이 왕녀(공주) 두 사람으로 하여금 육부의 여자를 나누어
거느리게 하여 ~
10 ~ 乃使荀息假道於虞曰 ~
~ 마침내 순식으로 하여금 우나라에서 길을 빌리게 하고 말하기를 ~
◇ 참고
1 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하되 如之何잇고 (2-20)
계강자가 물었다. “백성으로 하여금 (윗사람을) 공경하고 충성하게 하며,
그것으로써) (善을) 권면하게 하려면, (그것을) 어떻게 합니까?
(如之何 : 그와 같은 것을 어찌합니까(어떻게 합니까)? → 어떻게 합니까?)
2. 定公問 君使臣하며 臣事君하되 如之何잇고
孔子對曰 君使臣以禮하며 臣事君以忠이니이다 (3-19)
정공이 물었다. “임금이 신하를 부리며, 신하가 임금을 섬김에 어찌해야 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신하를 부리기를 예로써 하고, 신하는 임금을 섬기기를 충성으로써 해야 합니다.”
3 孟武伯이 問 子路仁乎잇가 子曰 不知也로라 (5-7)
又問한대 子曰 由也는 千乘之國에 可使治其賦也어니와 不知其仁也로라
맹무백이 물었다. “자로는 어집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알지 못화겠다.“
다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는 천승의 나라에 그 군정을 다시르게 할 수는 있거니와,
그가 仁한지는 알지 못하겠다.”
25. 그 기(其)
①‘그’, ‘그것’ (단수, 복수 둘 다 됨)
이때 ‘그’가 가리키는 말을 드러내어 해석해주는 연습을 하자.
②‘올바른, 제대로 된’의 뜻이 있다.
③강조사로 쓰임. 여기서는 해석을 해도 되고 안 해주어도 됨
(其可忘乎 : (그 /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④ ‘아마’ : 其 ~ 與(歟) (인저) 아마 ~일 것이다.
⑤ ‘어찌’ : 其 ~ 乎(哉) (아) ㉠어찌 ~ 이리오? /
(인저) ㉡아마 ~ 일 것이다.
⑥ 그중의, 그의, 그것의
* 요약 : ㉠대명사-그, 그것 / ㉡소유격-그의, 그것의, 그중의 /
㉢아마도(진실로) / ㉣어찌
㉤그냥 관용적으로 들어감-이때는 ‘그’라고 해석을 해도 되고
안 해도 됨
25-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欲報其德인댄 昊天罔極이로다
2 其父가 常戒之曰 見金如石하라하니
3 野鼠가 欲爲其子하여 擇高婚이러라
4 人人이 親其親하며 長其長이면 而天下平하리라
5 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未有義而後其君者也니이다
6 孟子曰 大人者는 不失其赤子之心者也니라
◌ 힌트
1 欲報其德인댄 昊天罔極이로다
그(부모님의) 은덕을 갚고자 할진댄 하늘처럼 다함이 없도다.
2 其父가 常戒之曰 見金如石하라하니
그(최영) 아버지가 항상 그에게 경계하여 말하기를,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라고 하니,
3 野鼠가 欲爲其子하여 擇高婚이러라
두더지가 그(자신의) 자식을 위하여 높은 혼처를 고르려고 하였다.
4 人人이 親其親하며 長其長이면 而天下平하리라
사람사람이(사람마다) 그(자신의) 어버이를 친애하고 그 어른을 어른으로
섬기면 천하가 태평해질 것이다.
5 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未有義而後其君者也니이다
仁하고서 그(자신의) 어버이를 버리는 자는 있지 않으며,
의로우면서 그 군주를 뒤로 하는 자는 있지 않습니다.
6 孟子曰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니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대인이란 적자의 마음을 잃지 않은 자이다.”
7 強梁者 不得其死
8 吾何走乎아 ... 其晉陽乎인저
9 孝弟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저
10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11 子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요 下學而上達하노니 知我者는 其天乎인저
◌ 힌트
7 強梁者 不得其死
난폭하고 잔인한 사람은 제 명에 죽지 못한다.
(강포한 사람은 제대로 죽지 못한다. (其-올바른, 제대로 된)
8 吾何走乎아 ... 其晉陽乎인저
내가 어디로 달아나야 하겠는가? ... 아마도 진양일 것이다
9 孝弟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저
孝와 弟(공경)라는 것은 아마도 인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
10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용이라는 덕은 진실로 지극하구나!
(아마도 지극할 것이다.)
11 子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요 下學而上達하노니 知我者는 其天乎인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사람을 탓하지
않고, 아래로 (인간의 일을) 배우면서 위로 (천리를) 통달하노니,
나를 알아주는 것은 아마도 하늘이실 것이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등록 : 28. 어조사 야(也) / 어조사 의(矣) / 어조사 언, 어찌 언(焉) (0) | 2020.03.08 |
---|---|
재등록 : 27. 이중부정 無不, ... (0) | 2020.03.04 |
재등록 : 22 바 소(所) / 소이(所以) (0) | 2020.02.17 |
재등록 : 20. 같을 여(如) / 불여(不如) (0) | 2020.02.06 |
재등록 : 19 이 ~ 위 ... (以 ~ 爲...) (0) | 202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