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바 소(所)
* 바 소(所)는 ‘~바’, ‘~하는 바’의 뜻이다. (~바, ~것, ~일)
현대에는 ‘바’대신에 그냥 ‘~것’으로 불완전명사로 해석하는 것이 보통.
* 所 다음에는 주로 서술어가 온다. (所+서술어).
所는 뒤에서 수식 : 서술어를 먼저 해석하고 그 다음에 所를 해석한다.
* 所앞에 어떤 말이 오면 주어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본다.
* 所 ~ 者 : ‘~하는 바의 것’을 그냥 ‘~하는 것’으로 번역해도 된다.
* 所가 뒤에 오면 : ‘곳, 장소’의 뜻으로 쓰인다.
住所(사는 곳), 名所(이름난 곳), 場所(마당 자리, 어떤 곳)
22-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所欲 : 하고자 하는 바(것), (원하는 것)
所欲言 : 말하고자 하는 바(것)
所不欲 : 하고자하지 아니하는 바, 하고 싶지 않은 것
2 所好 : 좋아하는 바(것)
所惡 : 싫어하는 바(것)
3 所能 : 능한 바, 할 수 있는 것
所不能 : 능하지 않는 바, 할 수 없는 것
4 所歸 : 돌아갈 바(것, 곳)
無所歸 : 돌아갈 바가(곳이) 없다.
5 所知 : 아는 바(것)
無所知 : 아는 바(것)가 없다.
6 所言, 所行, 所守, 所惜 : 말하는 바, 행하는 바, 지키는 바, 아끼는 바
7 所止 : 그칠 곳
所當止 : 마땅히 그쳐야 할 곳
8 無所有 : 가지고 있는 바가(것이) 없다.
無所得 : 얻은 바가(것이) 없다.
無所識 : 아는 바가(것이) 없다.
9 無所違 : 어기는 바가(것이) 없다.
無所取 : 취할 바가 없다.
10 無所不知 :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
無所不爲 : 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22-2 다음을 해석하시오.
11 我所欲 = 我之所欲
12 我所惡 = 我之所惡
13 道之所存은 師之所存也니라
14 人之所欲莫甚於生
15 人之所惡莫甚於死
16 人之所敎 我亦敎之
17 我之所以爲德者也니 ~
◉ 힌트
11 我所欲 = 我之所欲 : 내가 원하는 바(것)
12 我所惡 = 我之所惡 : 내가 싫어하는 바(것)
13 道之所存은 師之所存也니라 : 도가 있는 곳이 스승이 있는 곳이다.
14 人之所欲 莫甚於生 : 사람들이 원하는 바가 삶보다 심한 것이 없다.
15 人之所惡 莫甚於死 :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가 죽음보다 심한 것이 없다.
16 人之所敎 我亦敎之 : 남이 가르치는 것은 나도 가르친다.
17 我之所以爲德者也니 ~ 내가 그것을 덕(德)으로 삼은 것이니,
23 소이(所以)
* 所以 : ①(~하는) 것(이다).
②(~하는) 이유 • 방법 • 까닭(이다).
所以가 나오면 우선 이 두 뜻 중의 하나로 해석해 보자.
* 그 외 : 所以然 : 까닭, 이유
所 ~ 者 : ~하는 바의 것 → ~하는 것
所謂 ~ 者 : 이른바 ~(라는) 것은
所以 ~ 者 : ~하는 까닭은 / ~ 하는 것은
23-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明鏡은 所以察形이요 往者는 所以知今이니라
2 樂也者所以使人心感發也니라
3 古之學者는 必有師이니 師者는 所以傳道受業解惑也라
4 游氏曰 三代之學이 皆所以明人倫也니
5 孟子曰 君子所以異於人者는 以其存心也니 ...
◌ 힌트
1 明鏡은 所以察形이요 往者는 所以知今이니라
밝은 거울은 모양을 살피는 것이요, 지나간 일은 지금을 아는 것이다.
2 樂也者所以使人心感發也니라
음악이라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분발하게 하는 것이다.
3 古之學者는 必有師이니 師者는 所以傳道受業解惑也라
옛날의 학자에게는 반드시 스승이 있었으니,
스승은 도를 전해주고 학업을 주고 의혹을 풀어주는 바(분)이다.
4 游氏曰 三代之學이 皆所以明人倫也니 ...
유씨가 말하였다. “삼대의 학문은 모두 인륜을 밝힌 것이었으니 ...”
5 孟子曰 君子所以異於人者는 以其存心也니 君子는 以仁存心하며 以禮存心이니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일반인과 다른 까닭은 그 마음을 두기 때문이니, 군자는 인을 마음에 두며
예를 마음에 둔다.
6 聖人之所以爲聖과 愚人之所以爲愚가 其皆出於此乎인저
7 人所以貴는 以其倫綱이니라
8 宜當告之以日月星辰之所以行
9 自古 國家所以重史官 以記一時之得失 以待萬世之是非 ...
10 國家所以維持者, 人心而已, 雖危亂之際, 人心固結則國安, 人心離散則國危.
◌ 힌트
6 聖人之所以爲聖과 愚人之所以爲愚가 其皆出於此乎인저
성인이 성스럽게 된 까닭과 어리석은 사람이 어리석게 된 까닭이
아마도 모두 여기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7 人所以貴는 以其倫綱이니라
사람이 귀한 이유는 그 오륜과 삼강 때문이니라.
8 宜當告之以日月星辰之所以行
마땅히 일월성신이 운행하는 까닭을 말해주겠다.
9 自古 國家所以重史官 以記一時之得失 以待萬世之是非 故國可亡 史不可闕 ...
예로부터 국가에서 사관을 중히 여겼던 까닭은 일시의 잘잘못을 기록하여
만세의 시비를 기다렸던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나라는 망할 수 있어도
역사의 기록은 빠뜨릴 수 없었던 것이니, ...
10 國家所以維持者, 人心而已, 雖危亂之際, 人心固結則國安, 人心離散則國危.
국가가 유지되는 까닭은 사람들의 마음일 뿐이다. 비록 위태롭고 어지러울
때일지라도 사람들의 마음이 굳게 단결하면 나라가 평안해지고,
사람들의 마음이 떠나고 흩어지면 나라가 위태로워진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등록 : 27. 이중부정 無不, ... (0) | 2020.03.04 |
---|---|
재등록 : 24. 하여금 사(使) / 25 그 기(其) (0) | 2020.02.27 |
재등록 : 20. 같을 여(如) / 불여(不如) (0) | 2020.02.06 |
재등록 : 19 이 ~ 위 ... (以 ~ 爲...) (0) | 2020.01.27 |
재등록 : 17 할 위(爲0 / 이위(以爲) (0) | 202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