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할 위, 될 위(爲)
* ①하다 ②되다 ③만들다 ④위하여 ⑤이다 ⑥때문에
17-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爲善
2 爲惡
3 爲宰相
4 爲君子
5 善事父母가 爲孝니라
◉ 힌트
1 爲善 : 선을 행하다 (선행을 하다)
2 爲惡 : 악을 행하다 (악행을 하다)
3 爲宰相 : 재상이 되다
4 爲君子 : 군자가 되다
5 善事父母가 爲孝니라 :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 효도이다.
6 爲人子者 曷不爲孝
7 爲不善者 天報之以禍
8 爲宮室以處人 ~
9 金以爲器 ~ 木以爲宮 ~
10 爲國盡忠
◉ 힌트
6 爲人子者 曷不爲孝 : 사람의 자식이 된 자가 어찌 효도를 하지 않으리오.
7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 불선한 일을 하는 자는
하늘이 그를 재앙으 로써 갚아준다.
8 爲宮室하여 以處人하고 ~ : 궁실을 만들어 사람들을 거처하게 하고 ~
9 金은 以爲器하고 ~ : 쇠는 (그것으로써) 그릇을 만들고 ~
木은 以爲宮하고 ~ : 나무는 (그것으로써) 집을 만들고 ~
10 學優則仕하여 爲國盡忠하라 : 배움이 넉넉하면 벼슬하여
나라를 위하여 충성을 다하라..
18. 이위(以爲)
* 以爲는 ①~라고 여기다,
②~라고 생각하다.
③~라고 하다’ 는 뜻으로 주로 쓰인다.
* 以 한 글자로 ‘여기다, 생각하다(以爲)’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以爲 = 以)
18-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孫順以爲然
2 虎以爲然
3 虎以爲百獸畏狐也
4 接輿自以爲是
5 仁親을 以爲寶하다
◉ 힌트
1 孫順以為然 : 손순은 그렇다고(옳다고) 여겼다.
2 虎以爲然 : 호랑이가 그렇게(그럴듯하게) 여기다.
3 虎以爲百獸畏狐也 : 호랑이는 모든 짐승들이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여겼다.
4 接輿自以爲是 : 접여가 스스로 옳다고 여겼다.
5 舅犯曰 亡人은 無以爲寶요 仁親을 以爲寶라하니라 :
구범이 말하기를 ‘도망 온 사람은 보배로 여길 것이 없고,
어버이를 사랑함을 보배로 여긴다.’ 하였다.
6 故以爲德之賊
7 人以爲諂也
8 子以爲泰乎
9 匡人以爲陽虎
10 仁人以爲己歸矣
◉ 힌트
6 孔子以其似德而非德 故以爲德之賊 :
공자께서는 그런 사람들은 덕 같으면서도 덕이 아니기 때문에
덕의 적이라고 하신 것이다.
7 子曰 事君盡禮를 人以爲諂也로다 :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임금 섬김에 예(禮)를 다함을 사람들은 아첨한다고 하는구나!”
8 子以爲泰乎 : 그대는 (이것을) 지나치다고 여기는가?
9 匡人以爲陽虎而拘之 :
광땅 사람들이 양호라고 여겨 그(공자)를 구류하였다.
10 天下有善養老則仁人以爲己歸矣 :
천하에 늙은이를 잘 봉양하는 자가 있으면
어진 이들이 자기의 돌아갈 곳으로 여길 것이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등록 : 20. 같을 여(如) / 불여(不如) (0) | 2020.02.06 |
---|---|
재등록 : 19 이 ~ 위 ... (以 ~ 爲...) (0) | 2020.01.27 |
재등록 : 15. 옳을 가(可), 가이(可以) / 불가(不可) (0) | 2020.01.02 |
재등록 : 기초한문문법 13 곧 즉(則) / 14 갈 지(어조사 지)(之) (0) | 2019.12.20 |
재등록 : 11. 써 이(以) / 12. 말이을 이(而) (0)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