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검색하여 한문 원문과 해석을 복사해 와서 제가 좀 편집을 했습니다. 주소는 여기입니다.
http://ushg.co.kr/board/bbs/board.php?bo_table=class
강의 필기는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하는 사이버서원에서 권경상 선생님의 중용장구 강의를 들으며 대충 그 부분만 필기한 것입니다. 필기 중에 제가 잘못 필기했을 수도 있으며 그것은 모두 저의 잘못입니다.
중용장구 제26장입니다.
26. 故로 至誠은 無息이니
〔풀이〕그러므로 지극한 성실함은 쉼이 없다
(강의 필기 : 그러므로 지극히 진실한 것(체용-이치와 작용)은 이 순간에도 중단함이 없다.
不息則久하고 久則徵하고
〔풀이〕쉬지 않으면 오래 지속되고, 오래 지속되면 효험이 나타나고,
(강의 필기 : 중단하지 않으면 오래 동안 있게 되고 (항상 내 마음 속에 성(誠)이 있게 되고) 오래도록 마음속에 성이 있게 되면 외부에 그 징험이 나타나게 된다.)
徵則悠遠하고 悠遠則博厚하고 博厚則高明이니라
〔풀이〕효험이 나타나면 여유있고 오래하게 되며, 넓고 두터워지면 높고 밝게 된다
(강의 필기 : 지성(至誠)이 징험이 되어 밖으로 나타나게 되면 너그러워 먼 곳까지 파급되어 나가고, 너그러워 멀리까지 파급되면 내면의 인의 덕이 넓고 두터워지고, (사랑이 넓고 두터워지는 것이 땅이다.) 인이 넓고 두터워지게 되면 외면으로 발산되는 지(智)의 고명이다(높으면서도 밝아지는 것이다.)
(마음 - 땅 - 하늘) (후덕하다-인(仁)이 후덕하다-땅. 고명하다-지(知)가 고명하다-하늘)
(유원(悠遠)에서 유는 형세가 급박하지 않고 너그럽고 완만한 것, 원은 먼 곳까지 가는 것. 제대로 된 이치가 아닌 것은 우리가 계속 촉박해야 감. 그러나 이치는 유원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멀리 파고 듦)
博厚는 所以載物也요 高明은 所以覆物也요 悠久는 所以成物也니라
〔풀이〕넓고 두터움은 사물을 싣는 것이고, 높고 밝음은 사물을 덮는 것이요, 유구함은 사물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강의 필기 : 내면에 쌓은 인(仁)이 넓고 두텁다는 것은 그것(그 이치)을 가지고 땅이 만물을 싣는 것이요, 외면에 드러난 지(智)가 높고도 밝은 것은 그것을 가지고 하늘이 만물을 덮어주는 것이요(慧), 너그러우면서 오래한다는 것은 그것으로 외물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성인과 천지지도를 배합시켜 놓은(짝지어 놓은) 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생물을 이루어주듯이 성인도 사람을 교화시켜준다.))
博厚는 配地하고 高明은 配天하고 悠久는 無疆이니라
【 풀이 】 넓고 두터움은 땅과 짝이 되고, 높고 밝음은 하늘과 짝이 되며, 유구함은 끝이 없는 것이다
(강의 필기 : (모를까 봐서 또 말해 주고 있음) 넓고 두터운 인은 땅의 덕과 배합이 되고, 땅의 덕은 넓고 두터워서 높고 밝은 지는 하늘의 덕과 배합이 되고, 인과 지를 너그럽게 오래 지니고 있다는 것은 끝이 없다는 것이다.(끝이 없게 오래 계속 한다는 뜻))
如此者는 不見而章하며 不動而變하며 無爲而成이니라
【 풀이 】 이와 같은 것은 나타내지 않아도 빛나고, 움직이지 않아도 변하며, 하는 일이 없어도 이루어진다.
(강의 필기 : 이와 같은 것은 드러내지 않아도 뚜렷이 보이는 것이며, (땅은 넓고 두터워서 내 공(功)이라고 드러내지 않아도 사람들이 다 안다.) 하늘은 높고도 밝아서 고동시키지 않아도 변화하게 하고, (그런데 인간은 ‘이렇게 하시오, 물자를 아껴 씁시다.’ 라고 고동시켜야 움직인다) 끝없이 유구한 것은 조작적인 행위가 없어도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天地之道는 可一言而盡也니 其爲物이 不貳라 則其生物이 不測이니라
【 풀이 】 천지의 도는 한 마디 말로 다할 수 있다. 그 사물됨이 두 가지로 되지 않으므로 만물을 생성시킴이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 주 】 不貳 : '두 가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은 한결같다는 것으로 "성실하다"의 뜻
(강의 필기 : 천지의 도는 (性) 한 글자를 가지고서 모두 표현할 수 있으니 천지가 만물을 만드는 법은 달리 하지 않는다. (이치는 모두 똑같다.) 그러나 천지가 만물을 생성하는 소이연(이유)은 헤아리지 못한다.)
天地之道는 博也厚也高也明也悠也久也니라
【 풀이 】 천지의 도는 넓고 두터우며, 높고 밝으며 유원하고 오래 지속 된다.
(강의 필기 : 천지의 도는 인의 덕이 광박하고 심후하고 고대하고 광명하고 유원하고 유구한 것이니라.)
今夫天은 斯昭昭之多나 及其無窮也엔 日月星辰이 繫焉하며 萬物이 覆焉이니라 今夫地는 一撮土之多로되 及其廣厚엔 載華嶽而不重하며 振河海而不洩하며 萬物이 載焉이니라 今夫山은 一券石之多나 及其廣大엔 草木生之하며 禽獸居之하며 寶藏興焉이니라 今夫水는 一勺之多나 及其不測엔 黿鼉蛟龍魚鼈生焉하며 貨財殖焉이니라
【 풀이 ] 지금 하늘은 조금씩 밝은 것이 많이 모인 것인데 무궁함에 미쳐서는 해와 달과 별들이 거기에 매여 있고 만물이 그것에 덮여 있다. 지금 땅은 한 줌의 흙이 많이 모인 것인데 넓고 두터움에 미쳐서는 화살을 싣고 있으면서도 무겁게 여기지 않고, 강과 바다를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새지 않으며, 만물이 거기에 실려져 있다. 지금 산은 하나의 작은 돌들이 많이 모인 것인데 광대함에 미쳐서는 초목이 거기에서 생장하고 금수가 살고 보물이 거기에서 나온다. 지금 물은 한 잔의 물이 많이 모인 것인데 헤아릴 수 없음에 미쳐서는 자라, 악어, 교룡, 물고기가 거기에서 살고 재화(財貨)가 거기에서 불어난다.
【 주 】 昭昭 : 耿耿와 같으며, 조금 밝다는 뜻 / 及其無窮 : 及其之也와 같은 뜻으로 전체를 말한 것임 / 覆焉 : 부언, (뒤집힐 복, 덮을 부) 여기서는 "부"로 읽음 / 一撮 : 한 줌의 뜻 / 振 : 떨친 진, 거둘 진, 여기에서는 거둔다의 뜻 / 券 : 두루마리 권, 작을 권, 여기에서는 작다의 뜻
(강의 필기 : (이제 천지로 나갔음. 그래서 하늘을 살쳐보자는 것임. 하늘을 넓게 다 본다는 것이 아니라 ... 촛불 하나의 밝기를 소(昭)라고 함. 그래서 소를 경경(耿耿, 등잔불이 깜박깜박하는 것)이라고 함.)
지금 저 하늘은 바로 한 부분의 밝은 것들이 많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인데 (하늘 한 부분은 소소이고 ...) 그것이 무궁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면 (성은 항성, 신은 별자리를 말함) 일월성신이 하늘에 매달려 있게 되며 만물을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지금 저 땅은 한 주먹의 흙덩어리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것인데 그 흙이 넓고 두터운 지경에 이르게 되면 (화학은 화산을 말함, 이것을 보고 중용은 진나라 이후에 지은 것으로 봄. 노나라 자사는 태산을 못 벗어났을 것이니까. 황하를 보고는 호호라는 말은 할 수 있어도 양양이라는 말을 못함) 그런 한 움큼의 흙이 많이 모여 화산을 싣고 있어도 무겁게 여기지 않으며, 황하나 바다를 거두어들었으나 새지 않으며 만물을 싣고 있는 것이다. (만물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것이 산수. 대동여지도가 산과 물을 그려놓음, 그래서 길을 찾을 수 있음, 지리를 이야기하니까 산수를 이야기함) 지금 저 산은 한 뭉치 작은 돌들이 많이 모인 것이니 (산은 흙이 먼저가 아니고 돌이 근간임) 그 산이 광대한 지경에 이르게 되면 초목들이 자라게 되며 날짐승 길짐승들이 그곳에 살게 되며 (보장-보물이 내장되었다는 뜻) 산 속에 매장되어 있는 보장이 생산되게 된다. (산의 근간은 돌, 그래서 산에서 꼭 이야기하는 것이 일근석. 물의 근간은 물. 그래서 또 물을 쓸 필요가 없어서 물 수를 뺌) 지금 저 물(강물)은 한 움큼의 물이 많이 모인 것인데 (옛날에는 강에 물 수를 붙임. 살수, 한수) 그 물을 헤아리지 못하는 광대한 지경에 이르게 되면 (자라, 거북, 악어, 교룡, 뱀이 큰 것 - 모두 파충류들임. 물에 사는 뱀들은 크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구렁이는 먹구렁이다. 물에 사는 구렁이가 먹구렁이) 물에 사는 많은 동물들이 물에서 자라 재화가 증식되게 된다.)
(여기의 화는 여자들이 장식으로 쓰는 진주는 물 속에서 나온다. 진주는 크다 그래서 증식이 된다.) (거둘 진(金聲玉振-음악은 쇠를 쳐서 시작을 하고 옥을 쳐서 음악을 거둔다.) (하늘의 한 부분을 떼어서 본 것이 소소지명이다. 그러나 이 작은 것들이 모여 전체 하늘이 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詩云 維天之命이 於(오)穆不已라하니 蓋曰天之所以爲天也요 於乎不顯가 文王之德之純이여하니 蓋曰 文王之所以爲文也純亦不已니라
【 풀이 】 『시경』에 이르기를 "오직 하늘의 명은 아! 심원하여 그침이 없다"고 하였으니, 이는 대개 하늘이 하늘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고, " 아! 드러나지 않는가? 문왕의 덕의 순수함이여! 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대개 문왕이 문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다. 순수함이 또한 그치지 아니함이다.
(강의 필기 : (그래서 이 장은 시를 가지고 마무리함. 유는 발어사) 하늘이 만물에 내리는 명은 (인간에게는 성(誠)임) 그 이치가 깊고도 멀어서 중단하지 않는다 하였으니, (하늘의 도는 계속 실행되고 있다) 이것은 하늘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요, (그 까닭은 오목불이 이기 때문) 아! 어찌 드러나지 않겠는가! 문왕의 덕이 순수함이여 라고 하였으니 문왕이 문왕이 된 까닭은 순수하면서도 그치지 않은 것을 말한 것이다.)
'중용장구 간단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장구 제28장, 간단히 (0) | 2017.04.13 |
---|---|
중용장구 제27장, 간단히 (0) | 2017.04.12 |
중용장구 제24장, 25장, 간단히 (0) | 2017.04.08 |
중용장구 제21장 ~ 제23장, 간단히 (0) | 2017.04.07 |
중용장구 제20장 - 4, 간단히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