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이 시 / 옳을 시 (是)
①‘이’, ‘이것’ (이 시) ; 지시대명사로 쓰임
②‘옳다’ (옳을 시)로도 많이 쓰임
③‘이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我是學生
④부사 밑에 그냥 따라 쓰는 조사로도 쓰인다.
이 경우는 앞에 나온 부사만 해석하고 是는 해석 안 해도 된다. 그런데 속으로는 ‘이것은 ~이다’로 해주면 된다. (즉, 번역할 때는 매끄럽게 하기 위해 是는 해석하지 않고 그냥 빼면 된다(예 : 總是-다, 同是-같이, 終是마침내). 그러나 뜻을 파악할 때는 [부사 + ‘이것은 ~이다’]로 이해하고, 번역하거나 해석할 때는 문맥을 적절히 고려하여 ‘이것은’을 빼고 해도 된다.)
* 是 ①대명사-이, 이것. ②옳다, ③이다, ④부사에 따라 오는 조사(부사+是)
⑤是故-이러므로. 是以(=以是)-이 때문에. 由是-이로 말미암아.
是以見放 : 이 때문에 추방당하였다.
42-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是誰之過與
2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3 是日也放聲大哭
4 子曰 過而不改가 是謂過矣니라
5 父子有親하며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니
是謂五倫이니라
6 曰 不可하니 直不百步耳언정 是亦走也니이다 :
7 於是 堤上 ~
◌ 힌트
1 是誰之過與
이것은 누구의 잘못인가?
2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아! 늙었도다. 이 누구의 허물인가.
3 是日也放聲大哭
이 날, 크게 소리를 내며 크게 우노라.
4 子曰 過而不改가 是謂過矣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진짜 허물이라 한다.”
5 父子有親하며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니
是謂五倫이니라
~ 이것을 오륜이라 이른다(말한다, 한다).
6 曰 不可하니 直不百步耳언정 是亦走也니이다 :
(왕이) 말씀하셨다. “불가하니, 다만 백보를 패주하지 않았을 뿐이지
이것 또한 달아난 것입니다.”
7 於是 堤上 ~
이에 박 제상이 ~
42-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是非 / 是是非非
2 自以爲是
3 汝言是也 / 子言是矣
4 ~則當以實事求是요 ~
5 覺今是而昨非
6 是則是矣
◌ 힌트
1 是非 / 是是非非
옳고 그름 / 옳은 것은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함.
2 自以爲是
스스로 옳다고 여겼다.
3 汝言是也 / 子言是矣
너의 말이 옳다. / 자네(그대의) 말이 옳다,
4 ~則當以實事求是요 ~
~면 마땅히 사실로 있는 일을 가지고 옮음을 구해야 한다.
(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5 覺今是而昨非
오늘은 옳고 어제는 그른 것을 깨달았도다.
6 有大鼠 徐言曰 是則是矣 然~
어떤 나이 많은 쥐가 천천히(점잖게) 말하기를,
(그 말이) 옳기는 옳다, 그러나 ~
42-3.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我是天帝子요 河伯孫이라
2 臣是鷄林之臣이라
3 太公曰 勤爲無價之寶요 愼是護身之符니라
4 道吾善者는 是吾賊이요 道吾惡者는 是吾師니라
◌ 힌트
1 我是天帝子요 河伯孫이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손자입니다.
2 臣是鷄林之臣이라 ... 欲成吾君之志耳니라
신은 계림(신라)의 신하입니다. 우리 임금의 뜻을 이루어 드리려고 할 뿐입니다.
3 太公曰 勤爲無價之寶요 愼是護身之符니라
태공이 말하였다. “근면은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배요(보배가 될 것이요),
신중함은 몸을 보호하는 병부(兵符, 신표, 부절, 부적)이다.”
4 道吾善者는 是吾賊이요 道吾惡者는 是吾師니라
나의 선한 점을 말하여 주는 사람은 나의 도적(나를 해치는 사람)이요,
나의 나쁜 점을 말하여 주는 사람은 나의 스승이다.
42-4. 다음을 해석하시오.
1 能知能行이 總是師功이니라 (사자소학)
2 損人利己면 終是自害니라 (사자소학)
3 來說是非者는 便是是非人이니라
4 ~ 亦只是虛言
5 只是爲父當慈
◌ 힌트
1 能知能行이 總是師功이니라 (사자소학)
능히 알고 능히 행하는 것이 다 (이것은) 스승의 공이니라.
能 : ①능히(능히 ~하다), ②~할 수 있다. ③능력(재능)
*능히-옛날 말투, 지공부-행공부–옛날 말투
2 損人利己면 終是自害니라 (사자소학)
남을 손해 보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면 마침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3 來說是非者는 便是是非人이니라
와서 시비를 말하는 자는, <이 사람이야말로> 곧 시비하는 사람이니라.
4 ~ 亦只是虛言
(~이 마음이 또한 들떠 있어서 ... 하는 일 없이 날을 보내게 되니,)
또한 다만 헛된 말이다(말일 뿐이다).
5 只是爲父當慈, 爲子當孝 ~
다만 아버지가 되어서는 마땅히 (자식을) 사랑해야 하고,
자식은 마땅히 (부모에게) 효도해야 하며, ~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한문문법 43-1 : 문장의 형식 : 가정형 / 반어형 (0) | 2020.05.28 |
---|---|
43. 문장의 형식 : 평서형, 부정형, 의문형 (0) | 2020.05.18 |
41. ~者 ~也 : ~는 ~이다, ~라는 것은 ~이다 (0) | 2020.04.19 |
40. ~일 뿐이다. : 耳, 而已矣, 而已 (0) | 2020.04.19 |
39. 마땅 당(當)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