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더불 여, 줄 여(與) / 의문, 감탄, 추측의 종결사
① 더불어 (함께)
② 와/과
③ 주다
④ 의문, 감탄, 추측의 종결사 (=歟)
⑤ 허여하다
⑥ 편들다, 함께 하다
37-0. 일상에서
1 與民樂 : 조선 시대에, 임금의 거둥 때나 궁중의 잔치 때 연주하던 아악의 한 가지.
2 상장을 授與하다 : 주다
3 與黨과 野堂 : 편든 당 / 조정(朝廷)에서 벼슬하지 않다, 민간(民間, 일반 백성들 사이)에 있다,
37-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勿與人鬪
2 與民同樂
3 水與月
4 富且貴
5 不與勿食
6 弟得黃金二錠 以其一與兄
◌ 힌트
1 勿與人鬪하라 父母不安이시니라
남과 더불어 싸우지 말라, 부모께서 불안해하시느니라.
2 ~ 此는 無他라 與民同樂也니이다 今王이 與百姓同樂하시면 則王矣시리이다 (p.46)
이것은 다름이 아니라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거워하시기 때문입니다. 지금 왕께서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거워하신다면 (천하에서) 왕노릇 하실 것입니다.
3 蘇者曰 客亦知夫水與月乎아
소자(蘇軾소식)가 말하기를, 그대도 또한 저 물과 달을 아는가?
4 子曰 飯疏食飮水하고 曲肱而枕之라도 樂亦在其中矣니 不義而富且貴는 於我如浮雲이니라 (7-1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더라도 낙(즐거움)은 또한 그 가운데 있으니, 의롭지 못하고서 부유하고 귀하게 됨은 나에게 있어 뜬구름과 같으니라.
5 器有飮食이라도 不與勿食하라
그릇에 음식이 있더라도 주시지 않으면 먹지 말라.
6 高麗恭愍王時에 有民兄弟가 偕行하다가 弟得黃金二錠하여 以其一을 與兄하다
고려 공민왕 때에 어떤 백성 형제가 함께 가다가 아우가 황금 두 덩이를 주워 그 중의 하나를 형에게 주었다.
7 不與則已어니와 旣與之萬金인댄 問姓名何爲리오
주지 않으면 그만이거니와 이미 그에게 만금을 주었는데 성명을 물어서 무엇 하겠는가?
8 是誰之過與아 (16-1)
9 子非三閭大夫與아
10 ~ 則文王은 不足法與잇가
11 禮는 與其奢也론 寧儉이요
◌ 힌트
8 是誰之過與아 (16-1)
이것은 누구의 잘못인가?
9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아
어부가 그를 보고 묻기를, 그대는 삼려대부가 아닙니까?
10 今言王若易然하시니 則文王은 不足法與잇가 曰 文王을 何可當也리오 (p.79)
~ (그런데) 지금 왕노를 하는 것을 쉬운 것처럼 말씀하시니, (그렇다면) 문왕은 족히 법받을 만한 것이 못됩니까(본받기에 부족합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문왕을 어찌 감당할 수 있겠는가.
11 林放이 問禮之本한대 子曰 大哉라 問이여 禮는 與其奢也론 寧儉이요 喪은 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3-4)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질문이여. 예는 그 사치하기보다는 처라리 검소하여야 하고, 상은 형식적으로 잘 치르기보다는 차라리 슬퍼하여야 한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마땅 당(當) (0) | 2020.04.19 |
---|---|
38. 할 수 있다 : ‘可, 能, 得, 足’ ≑ ‘可以, 得以, 足以 (0) | 2020.04.19 |
기초한문문법 36. 어조사 재(哉) (0) | 2020.04.19 |
35-1. 어찌 : 安 豈 何 焉 寧 (0) | 2020.03.31 |
35.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 하(何), 수(誰), 숙(孰), ...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