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문연습

38. 할 수 있다 : ‘可, 能, 得, 足’ ≑ ‘可以, 得以, 足以

풀빛 너머 2020. 4. 19. 19:24

38. ~할 수 있다 : ‘, , , ’ + 서술어 可以, 得以, 足以

* , , , 은 조동사의 역할을 하여, 다음에 서술어가 오면 : ‘~할 수 있다

* 가 붙은 可以, 得以, 足以도 거의 같은 뜻으로 : ~할 수 있다

 

38-0. 다음을 해석하시오.

* 능할 능() : 능히, ~할 수 있다. 능력(재능)

1 能好人

2 虎不能忌

3 有能 / 無能

尊賢使能

 

힌트

1 子曰 惟仁者能好人하며 能惡人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직 어진 사람이라야 능히 사람을 좋아하며, 능히 사람을 미워한다(미워할 수 있는 것이다).

2 虎不能忌하여 而不得人身이라

호랑이는 금기를 삼갈 수가 없어서 사람의 몸을 얻지 못하였다.

3 有能 / 無能 : 능력이 있다 / 능력이 없다

尊賢使能 : 어진 이를 존경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부린다.

38-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不能相保

2 識見不能自長

3 (대장부를) 富貴不能淫하며 ~

4 見善能遷

5 ~ 莫能陷也

~ 弗能應也

 

힌트

1 雖其不兄弟親戚이라도 不能相保

비록 그의 형제나 친척들이라 하더라도 서로 도울 수가 없게 됩니다.

2 識見不能自長이니 只在讀書觀理而已

식견은 저절로 자라 수 없으니, 다만 책을 읽고 관찰하는데 있을 뿐이다.

3 富貴不能淫하며 貧賤不能移하며 威武不能屈~

부귀가 마음을 방탕하게 하지 못하며, 빈천이 절개를 변하게 하지 못하며, 위세와 무력이 지조를 굽히게 하지 못하는 것,

4 見善能遷이면 則可以盡天下之善이요 有過能改하면 則無過矣리니 益於人者莫大於是

선을 보고 능히 옮기면 천하의 선을 다할 수 있고, 허물이 있어도 능히 고치면 곧 허물이 없으리니, 사람에게 유익한 것이 이보다 더 큰 것이 없다.

5 吾盾之堅莫能陷也

내 방패의 단단함은 능히 뚫을 수 있는 것이 없다.

其人弗能應也러라

그 사람은 대답할 수가 없었다.

 

38-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 則能不受變於俗者鮮矣니라

2 不能測 / 不能守

3. 天下無無一能之人이니 ~

 

힌트

1 ~ 而若存若亡而已則能不受變於俗者鮮矣니라

~ 있는 듯 없는 듯 할 뿐이라면, 능히 세속에 변화를 받지 않을 자가 드물 것이다.

2 不能測 : 측량할 수 없다,

非其主不能守: (올바른, 제대로 된) 주인이 아니면 지킬 수 없다.

3 天下無無一能之人이니 若聚十百人而各用其長이면 便爲通才리니 如此則世無棄人이며 人無棄才矣리라

세상에는 한 가지 능력이 없는 사람은 없으니, 만약 많은 사람을 모아 각각 그의 장기를 써서 재능을 서로 통용하게 한다면, 곧 서로 재주를 통하게 될 것이니, 이와 같이 한다면 세상에는 버려진 사람이 없을 것이고 사람은 재능을 버리는 일이 없을 것이다.

 

 

 

38-1. 할 수 있다 : ‘, , , 可以, 得以, 足以

* ~할 수 있다 : ‘, , , ’ + 서술어 可以, 得以, 足以

* , , , 은 조동사의 역할을 하여, 다음에 서술어가 오면 :

‘~할 수 있다

* 가 붙은 可以, 得以, 足以도 거의 같은 뜻으로 : ~할 수 있다

 

38-3.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可爲 / 不可爲 / 不可知

2 可欲之謂善

3 不能相濟

4 爾若得至~

5 惡得不禁惡而勸愛리요 (오득불금오이권애)

6 十人守之 不得察一賊

7 不足爲貴人匹

8 奚足贖哉

 

힌트

1 可爲 / 不可爲 / 不可知

할 수 있다 / 할 수 없다 / 알 수 없다

2 ~ 何謂善이며 何謂信이닛고 曰 可欲之謂善이요 有諸己之謂信이요 ~

~ (호생불해가 묻기를 ...) 무엇을 善人이라 이르며, 무엇을 信人이라 이릅니까? (맹자께서) 말하기를, 바랄만한 것을 이라 하고, 선을 자기에게 가지고 있는 것을 이라 하고, ~

3 四民俱困하여 不能相濟하여 ~

온 백성(士民工商)이 모두 곤궁해서 서로 구제할 수가 없어 ~

4 爾若得至可以安居無患하리라

네가 만약 이를 수 있다면 편안히 살아 걱정이 없을 것이다.

5 聖人以治天下爲事者이니 惡得不禁惡而勸愛리요

그러므로 성인은 천하를 다스리는 것으로 일을 삼는 자이니,

어찌 미움을 금하고 사랑을 권하지 않겠는가?

6 十人守之라도 不得察一賊이라

열 사람이 지켜도 도적 하나 살필 수 없다.

7 其母曰 吾息至陋하여 不足爲貴人匹이요 ~

(온달) 어머니가 말하기를, 내 자식은 매우 비루하여 귀인의 배필이 될 수 없고 ~

8 (평소에 늘 불효했다면) 口腹之養奚足贖哉

(자식이 그 어버이를) 배불리만 먹이는 봉양이) 어찌 죄를 면할 수 있겠는가? (속바칠 속 : 재물을 바치고 죄를 면제 받음)

 

38-4.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十人耕田하여 不足以食一人이어늘 ~

2 老者足以衣帛矣

3 子曰 能以禮讓이면 爲國乎何有.~ (4-13)

4 ~ 能以方便 生智慧故 ~

5 ~ 惟仁者라야 爲能以大事小하나니 ~ (맹자, 양혜왕장구하, 3)

6 則不得不從事於衣食이요 ~

 

힌트

1 十人耕田하여 不足以食一人이어늘 ~

열 사람이 밭을 갈아도 한 사람을 먹일 수 없으니 ~

2 老者足以衣帛矣

늙은이가 비단을 입을 수 있다.

3 子曰 能以禮讓이면 爲國乎何有不能以禮讓爲國이면 如禮何. (4-1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와 겸양(謙讓)으로써 한다면 나라를 다스림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으며, 예와 겸양으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형식적인) 예를 어찌 하겠는가(어디에 쓰겠는가)?

4 ~ 能以方便 生智慧故 ~

~ 능히 방편으로써 지혜를 생기게 하는 까닭이고 ~

5 ~ 惟仁者라야 爲能以大事小하나니 ~ 惟智者라야 爲能以小事大하나니 ~ (맹자, 양혜왕장구하, 3)

오직 한 마음을 지닌 임금이라야 큰 나라를 가지고 작은 나라를 보살필(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오직 지혜로운 임금이라야 작은 나라를 가지고 큰 나라를 섬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는 별다른 뜻이 없어서 는 해석 안 해도 된다고 함)

6 人生於世旣不能吸風飮露하고 衣羽蔽毛하니 則不得不從事於衣食이요 ~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이미 바람을 들이키고 이슬을 마시고 깃털을 입고 짐승털로 몸을 가릴 수 없으니, 입을 것과 먹을 것을 얻는 일에 종사하지 않을 수 없고, ~

 

38-5.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人得而見之

2 民不可得而治也

3 ~則不可得而名矣

 

힌트

1 ~ 使此心으로 如靑天白日人得而見之니라

이 마음으로 하여금 푸른 하늘의 밝은 해를 사람이 능히 보는 것과 같게 하다.

2 孟子曰 居下位而不獲於上이면 民不可得而治也리라 (맹자, p.212)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래 지위에 있으면서 윗사람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을 다스리지 못할 것이다.

3 ~則不可得而名矣 (맹자, p.430)

~하면 이름할 수(명칭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 韓愈雜說에서

... 馬之千里者一食或盡粟一石, 食馬者不知其能千里而食也. 是馬雖有千里之能, 食不飽力不足, 才美不外見. 且欲與常馬等不可得, 安求其能千里也. ...

천리를 갈 수 있는 말은 한 번 먹는 데 혹 곡식 한 섬을 먹기도 하거늘, 말을 먹이는 사람이 그 말이 천리를 달릴 수 있다는 것을 모르고서 먹인다. 이 말이 비록 천리를 달릴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먹는 것이 배부르지 못하면 힘이 모자라 재능의 훌륭함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천리마는) 보통 말과 더불어 같고자 해도 할 수 없는데, 어찌 그 말이 천리를 달릴 수 있기를 바라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