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마땅 당(當)
① 마땅히 ~해야 한다 (=宜)
② (때를) 만나다, ~할 때(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하려는 상태)
③ 당하다(당해내다)
④ 그 외 : 해당하다, (벌 따위를) 받다, ...
39-0. 일상에서
* 當身 : 부부사이에서 / 싸우는 상대에게 / 3인칭으로 웃어른을 높일 때
* 當時 : 일이 있었던 그때.
* 當然 : 마땅히 그러하다.
* 當選 : 선거에서 뽑힘. ↔ 落選
* 擔當 : 어떤 일을 맡음
* 當局 : 어떤 일을 직접 맡아봄. 또는 그 기관.
* 當面 : 바로 눈앞에 당함
* 堪當 : 일을 맡아서 능히 당해 냄.
* 當爲 : 마땅히 해야 하는 것. (마땅히 그렇게 하거나 되어야 하는 것)
* 應當 : 당연히
39-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當正心身
2 當依小學
3 汝當思父母之恩
4 當常自奮發
5 當質問義理難曉處
6 當竭力於其所當爲
7 臣子用心 當如是也
◌ 힌트
1 當正心身
마땅히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해야 한다.
2 敎之之序는 當依小學이니라
가르치는 차례는 마땅히 소학을 따라야 한다.
3 汝當思父母之恩
너는 마땅히 부모의 은혜를 생각해야8 한다.
4 當常自奮發曰 ~
마땅히 항상 스스로 분발하여 말하기를 ~
5 凡侍先生長者에 當質問義理難曉處하여 以明其學하고 ~
무릇 선생과 어른을 모실 적에는 마땅히 의리의 깨닫기 어려운 곳을 질문하여 그 학문을 밝혀야 하고 ~
6 當竭力於其所當爲
마땅히 당연히 해야 할 일에 힘을 다해야 한다.
7 臣子用心이 當如是也니라
신하의 마음씀이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한다.
39-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當是時也하여 商君佐之러니 ~
2 當此之時하여 齊有孟嘗하고 ~
3 當群雄角逐之際하여 ~
4 禹稷 當平世 三過其門而不入
5 顔子 當亂世 居於陋巷
6 楊震 遷東萊太守 當之郡
◌ 힌트
1 當是時也하여 商君佐之러니 ~
이때를 당하여 상군(상앙)이 보좌하여 ~
2 當此之時하여 齊有孟嘗하고 ~
이때를 당하여 제나라에는 맹상군이 있었고 ~
3 當群雄角逐之際하여 ~
여러 영웅들이 각축할 때를 당해서는 ~
4 禹稷이 當平世하여 三過其門而不入하신대 孔子賢之하시니라
우왕과 후직이 평세(태평한 세상)를 당하여 세 번 그 문 앞을 지나면서도 들어가지 못하시자, 공자께서 그들을 어질게 여기셨다.
5 顔子 當亂世하여 居於陋巷하사 ~
안자(안회)가 난세를 당하여 누추한 골목에서 거처하며 ~
6 楊震이 遷東萊太守하여 當之郡할새
양진이 동래 태수로 직책이 옮겨져 그 고을로 갈 때
39-3.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一騎當千
2 無不以一當千
3 以一國之人으로 當唐羅之大兵하니 ~
4 趙括이 ~ 以天下莫能當
◌ 힌트
1 一騎當千
한 사람의 기병이 천 명을 당한다는 뜻으로, 무예나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2 無不以一當千
하나로써 천을 당하지(당해내지) 않음이 없었다.
3 階伯이 ... 曰 以一國之人으로 當唐羅之大兵하니 國之存亡을 未可知也라
계백이 ... 말하기를, 한 나라의 사람으로서 당과 신라의 큰 군사를 당해내자니 나라의 존망을 알 수 없다.
4 初에 趙括이 自少時로 學兵法하야 以天下莫能當이라 (통감절요1, p.178)
처음에 조괄이 어렸을 때부터 병법을 배워 천하가 자신을 당할 수 없다고 여겼다.
39-4.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有罪當刑
2 今坐法當刑
3 不足以當大事
◌ 힌트
1 齊太倉令淳于意 有罪當刑이어늘 ~ 통감절요2, p.174
제나라 태창령 순우의가 죄가 있어 형벌을 받게 되었으므로 ~
2 今坐法當刑하니 ~ 같은 책 p.174
지금 법에 걸려 형벌을 받게 되었으니 ~
3 孟子曰 養生者는 不足以當大事요 惟送死라야 可以當大事니라 (맹자, 이루장구하, 13)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산 자(부모)를 봉양하는 것은 大事에 해당할 수 없고, 오직 죽은 자를 장송하는 것이라야 대사에 해당될 수 있다.
◇ 참고. 다음을 해석하시오.
宜 : ①마땅히 ~해야 한다.
1 宜學恭謹
2 宜學深厚
3 宜各勉之
4 宜以此爲戒
5 切宜痛戒
6 宜無間然
7 汝曹宜戒之
◌ 힌트
1 宜學恭謹
마땅히 공경함과 삼감을 배워야 한다.
2 宜學深厚
마땅히 침착함과 중후함을 배워야 한다.
3 宜各勉之
마땅히 각자 힘써야 한다.
4 宜以此爲戒
마땅히 이것을 경계로 삼아라.
5 切宜痛戒
절실하게 마땅히 통렬히 경계하라
6 宜無間然
마땅히 간극(틈이 벌어진 모습)이 없어야 한다.
7 汝曹宜戒之
너희들은 마땅히 이것을 경계하라.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者 ~也 : ~는 ~이다, ~라는 것은 ~이다 (0) | 2020.04.19 |
---|---|
40. ~일 뿐이다. : 耳, 而已矣, 而已 (0) | 2020.04.19 |
38. 할 수 있다 : ‘可, 能, 得, 足’ ≑ ‘可以, 得以, 足以 (0) | 2020.04.19 |
기초한문문법 37. 더불 여, 줄 여(與) / 의문, 감탄, 추측의 종결사 (0) | 2020.04.19 |
기초한문문법 36. 어조사 재(哉)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