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어조사 어(於)
① ‘~에, ~에서, ~에게
② ~보다 (비교)
③ ~을(를) (목적격)
* 문장에서 ‘~에, ~에서’로 쓰일 때는 자주 생략되기도 한다.
어조사 호(乎), 어조사 우(于)가 문장 중간에 오면
어조사 어(於)와 뜻이 거의 같다. (於 = 乎 = 于)
④ 서술어 다음에 於가 생략되어 목적어처럼 보이지만
그 부분이 부사구의 역할을 할 때가 있다.
9-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日出於東方 :
2 日入於西方 :
3 人生於世 :
4 道生於安靜 :
5 言出於口 :
◉ 풀이
1 日出 / 於東方 :
해는 나온다 / 동쪽 방향에서
2 日入 / 於西方 :
해는 들어간다 / 서쪽 방향으로
3 人生 / 於世 :
사람이 태어나다 / 세상에
4 道生 / 於安靜 :
도는 생긴다 / 편안하고 고요한 데서
5 言出 / 於口 :
말은 나온다 / 입에서
6 孔子問禮於老子
7 仁人無敵於天下
8 莫大於是
9 天下之水莫大於四海
10 無改於父之道 (~을(를))
◉ 풀이
6 孔子問禮 / 於老子 :
공자가 예를 물었다 / 노자에게
7 仁人(은) 無敵 / 於天下(니) :
어진 사람은 대적할 사람이 없으니 ... / 천하에
8 莫大 / 於是 :
더 큰 것이 없다 / 이것보다.
9 天下之水(가) 莫大 / 於四海(하니라) :
천하의 물은 더 큰 것이 없다. / 사해보다
10 無改 / 於父之道 :
고치지 아니하다 / 부모의 도‘를’
◉ 참고 :
1. 溫公曰天子之職莫大於禮禮莫大於分分莫大於名
2. 愛親者不敢惡於人敬親者不堪慢於人
3. 國不亡於外寇하고 而亡於內寇하며 惡不成於有助하고 而成於無助하니라
國家之難에 攻其外而無應於內면 則攻者亦將窮而自止리라
4. 是故로 君子는 先愼乎德이니 有德이면 此有人이요 ~
5. 長國家而務財用者는 必自小人矣니 ~
1. 溫公曰 天子之職은 莫大於禮요 禮莫大於分이요 分莫大於名이라
온공이 말하였다. 천자의 직책은 예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예는 분(지위)보다 더 큰 것이 없고, 分은 명칭보다 더 큰 것이 없다.
2. 愛親者는 不敢惡於人하고 敬親者는 不堪慢於人하나니 ~
어버이를 사랑하는 사람은 감히 남을 미워하지 않고,
어버이를 공경하는 사람은 감히 남을 업신여기지 않으니,
3. 國不亡於外寇하고 而亡於內寇하며 惡不成於有助하고 而成於無助하니라
國家之難에 攻其外而無應於內면 則攻者亦將窮而自止리라
나라는 바깥의 도적으로부터 망하지 않고 안의 도적으로부터 망하며,
악은 도와주는 사람(곳, 세력)이 있는 데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도와주는 사람이 없는 데서 이루어진다.
나라의 난리에 <그 바깥에서> 공격하고 안에서 호응하는 것이 없으면 공격하는 자도 장차 궁해져서
스스로 그만둘 것이다.
4. 是故로 君子는 先愼乎德이니 有德이면 此有人이요 ~
이러므로 군자는 먼저 덕을 삼가는 것이니, 덕이 있으면 이 인민이 있고, ~
5. 長國家而務財用者는 必自小人矣니 ~
국가에서 어른이 되어 재용을 힘쓰는 자는 반드시 소인으로부터 시작되니 ~
(長國家 - 長於國家처럼 於가 생략된 것으로 볼 것)
10. 유(有), 무(無)
* 보통은, 有 다음에 말하고자 하는 것이 나온다. 無도 마찬가지다.
* [~ 有 ...] 의 해석은 보통 [~에 ...이 있다] 로 한다.
즉, 有를 기준으로 앞부분은 부사어(구)로, 뒷부분은 주어로.
* 예를 들어 家有黃金, 이때는 집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보다는
‘집에 <황금>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10-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上有天
2 下有地
3 國有大路
4 天下有大道
5 上古無文字
◉ 풀이
1 上有天 : 위에는 하늘이 있다.
2 下有地 : 아래에는 땅이 있다.
3 國有大路 : 나라에 큰 길이 있다.
4 天下有大道 : 천하에 큰 도가 있다.
5 上古無文字 : 상고에는 문자가 없었다.
6 器有大小
7 物有本末
8 君子有三戒
9 先王有至德
10 上古無衣裳
◉ 풀이
6 器有大小 : 그릇에는 크고 작음이 있다.
7 物有本末 : 물에는 근본과 말이 있다.
8 君子有三戒 : 군자는 세 가지 경계할 것이 있다.
9 先王有至德 : 선왕(들)은 지극한 덕이 있었다.
10 上古無衣裳 : 아주 옛날에는 의상(웃옷과 치마)이 없었다.
10-2. 다음을 해석하시오.
1 良藥苦於口而利於病
2 忠言逆於耳而利於行
3 小人憚於改過
4 霜葉紅於二月花
5 靑出於藍而靑於藍
◉ 풀이
1 良藥은 苦於口나 / 而利於病이요, :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 병에는 이롭고,
2 忠言은 逆於耳나 / 而利於行이라 :
충직한 말은 귀에는 거슬리나 / 행함에는 이롭다.
3 小人은 憚於改過(니라) :
소인은 잘못을 고치는 것을 꺼린다(어려워한다).
4 霜葉 / 紅於二月花 :
서리 맞은 잎이 / 봄꽃보다 붉다.
5 靑出於藍 / 而靑於藍 :
푸른색은 쪽풀에서 나왔으나 / 쪽풀보다 더 푸르다.
6 天下之義理無窮
7 先生無變其初
8 古之學者必有師 ~
9 宋人有耕田者 ~
10 杞國有人憂天地崩墜
◉ 풀이
6 天下之義理가 無窮한데 :
천하의 의리(옳은 이치)가 / 끝이 없는데
7 先生無變其初 :
선생은 / 그 처음을 변함이 없었다.
8 古之學者는 必有師니 ~ :
옛날에 배우는 사람은 / 반드시 스승이 있었으니 ~
9 宋人有耕田者 ~ :
송나라 사람 중에 밭을 가는 자가 있었는데 ~
10 杞國 / 有人 / 憂天地崩墜 :
기나라에 어떤 사람이 (있어) /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 근심하였다.
(이때 有는 ‘어떤’으로 해석해도 된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등록 : 기초한문문법 13 곧 즉(則) / 14 갈 지(어조사 지)(之) (0) | 2019.12.20 |
---|---|
재등록 : 11. 써 이(以) / 12. 말이을 이(而) (0) | 2019.11.30 |
재등록 : 8. 아닐 불(不) (0) | 2019.11.16 |
재등록 : 6. 서술어 + 보어 / 7. 놈 자(者) (0) | 2019.11.15 |
재등록 : 4. 서술어를 수식 / 5 서술어 + 목적어 (0) | 2019.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