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검색하여 한문 원문과 해석을 복사해 와서 제가 좀 편집을 했습니다. 주소는 여기입니다.
http://ushg.co.kr/board/bbs/board.php?bo_table=class
강의 필기는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하는 사이버서원에서 권경상 선생님의 중용장구 강의를 들으며 대충 그 부분만 필기한 것입니다. 필기 중에 제가 잘못 필기했을 수도 있으며 그것은 모두 저의 잘못입니다.
중용장구 제15장입니다. .
15. 君子之道는 辟(譬)如行遠必自邇하며 辟如登高必自卑니라.
(풀이) 군자의 도는 비유하면 먼 곳을 가려고 한다면 가까운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과 같으며, 비유하면 높은 데를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으로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
(강의 필기 : (중용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계속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군자의 도는 비유하자면 먼 길을 갈 때는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으며 (행원-먼 길을 떠나는 것) 높은 곳을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 (시작이 있어야 끝이 있다.) (임금 벽(辟)자는 부수가 생략되어 있음. 벽, 피, 비 등의 뜻이 있음. 비로 될 때는 같을 여가 따라오는데 보통은 같을 여가 생략됨))
詩曰 妻子好合이 如鼓瑟琴하며 兄弟旣翕하여 和樂且耽이라 宜爾室家하며 樂爾妻孥라 하여늘
이미 화합하여 화락하고 기뻐하는도다. 너의 집안을 훌륭하게 하고, 너의 처자를 즐겁게 하는구나."하였는데.
(강의 필기 : (이 대문은 두 가지로 해석됨) (처자호합에서 호합이 - 정호의합:처자식과 정이 좋고 생각이 맞는 것) 1. 처자식에게 정이 많고 뜻이 맞아서 (금은 양, 슬은 음 - 음양이 서로 잘 어울려야 함) (연주하는 말이 나오면 화음을 이루어야 함) 금과 슬을 연주하듯 하며 형제간이 화목해서 (흡은 날개가 모두 하나로 합해졌다) 화락하면서도 단란하도다. 이렇게 푸는 것이 하나이고, / 2. 처자식간에 정이 좋고 뜻이 맞아서 금슬을 연주하듯 화락할지라도 형제간이 화목하게 되어야 화락하면서도 단락하게 되는구나.(자기 처자식만 알고 형제간의 우애를 모르면 부모는 화락하지 못하므로)
너희 집안을 화목하게 하며 너의 처자식이 즐겁다고 하거늘 (가와 실을 나누면 - 실은 아내, 가는 남편. 화(和)는 기존에 있는 것과 외부의 것을 탔을 때 잘 혼합된 것을 말함. 혼연지모(渾然之貌)가 화(和). 예) 아들에게 아내가 왔을 때, 음악에서도 화, 맛에도 잘 어울리면 화. 아내 따로 남편 따로라면 혼(混))
子曰 父母는 其順矣乎인저하시니라
(풀이)공부자께서 말씀하시기를,"부모는 편안하고 즐거울 것이로다."고 하셨다.
(강의 필기 :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렇게 하는 집안의 부모는 아마도 편안하시면서도 즐거우실 것이다. (자식이 칠남매, 팔남매가 있는데, 아들딸들이 모두 화목하게 잘 지내니 부모 마음은 순할 것이다.))
'중용장구 간단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장구 제17장, 간단히 (0) | 2017.03.30 |
---|---|
중용장구 제16장, 간단히 (0) | 2017.03.29 |
중용장구 제14장, 간단히 (0) | 2017.03.25 |
중용장구 제13장, 간단히 (0) | 2017.03.24 |
중용장구 제12장, 간단히 (0) | 201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