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6

기초한문문법, 복습 : 8. 평서형 (문장의 형식 중에서)

◌ 문장의 형식 : 평서형, 부정형, 의문형, 비교형, 가정형, 명령형(금지형), 반어형, 사동형, 감탄형, 기타(한정 / 추측) 8. 평서형(平敍形) * 어떤 사실이 ‘이러하다’, 또는 어떤 것이 ‘무엇이다’고 서술하거나 지정하는 문장 형식. 주로 긍정을 나타낸다. * 종결사가 없는 경우도 있고 종결사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종결사가 있는 경우에는 주로 也, 矣, 焉이 쓰인다. 8-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淸風徐來 2 月出於東山之上 3 白露橫江하고 水光接天이라 4 望美人兮天一方 5 月明星稀 6 天地之間 物各有主 ◌ 힌트 (蘇軾소식의 赤壁賦적벽부 중에서, 해석은-옛 고등학교교과서에서) 1 淸風徐來 맑은 바람이 천천히 불어오다. 2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조금 있으니 달이 동산 위에서 나온다. 3 白露橫江..

동영상 강의에서 배움 (가) : 之의 용법 중에서 ‘을/를. 서술어 앞에 오는 말들

◌ 전통문화연구회의 사이버서원의 동영상 강의, 또는 책에서 배운 내용들 1. 之의 용법 중에서 ‘을/를’ * 此之謂自謙 : 이것을 일러 자겸이라 한다. * 此之謂天樂 : 이것을 일러 자연의 즐거움이라 한다. * 夫子之謂也 : 부자를 두고 하신 말씀입니다. (1) 子曰 鄕原은 德之賊也니라 (논어, 양화 제17, 13) ①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향원은 덕의 적이다." ②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향원은 덕을 해치는 것(사람)이다." (향원: 時俗을 함께 하고 더러움에 영합하여 ᅟᅦᆺ상 사람들에게 잘 보이는 사람) (2) 子曰 道聽而塗說이면 德之棄也니라 (논어, 양화 제17, 1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면 덕을 버리는 것이다.“ (장소를 나타내는 말이 서술어 앞에 와서 부사처럼 해석했다..

기초한문연습 2020.08.08

기초한문문법 45. 종결사 (복습), 예문 별로 없음

45. 종결사 * 종결사 없이 문장이 끝나는 경우도 많다. * 그런데 종결사가 문장 끝에 쓰이면, 그 문장이 끝났음을 알려준다. * 대체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의 역할을 한다. * 감탄은 문장 앞이나 중간에 잘 나타나는 것 같다. 1. 也 : ①마침표 - 단정 ②의문 2. 矣 : ①마침표 ②~일 것이다 (상황의 변화) 3. 焉 : ①마침표 ②거기에 4. 耳 : ①~일 뿐이다 – 한정 5. 已 : ~이다. 6. 乎 : ①의문 ②감탄, 반어 7 哉 : ①감탄 ②반어, 의문 ③~哉...乎 : ~구나! ...여. 8. 耶, 邪(야) : ①의문 ②반어 9. 與 : ①감탄 ②의문, 반어 10. 夫 : 감탄 참고 : 한정, 결과 인지 (1) 한정 종결사 : ~뿐이다. 爾, 已, 耳, 而已, 而已矣..

기초한문연습 202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