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까마(감각적 욕망) 등에 대해 생각해보며

풀빛 너머 2021. 11. 10. 20:31

1. ‘, , 할 때의 (lobha)’탐욕(貪慾)’이라고도 할 때,

* 탐욕(lobha)강한 열망이나 욕심에서부터 미세한 취미나 집착까지 모든 종류의 탐욕을 다 포함한다.”고 합니다. (아비담마 길라잡이1, 전정판, p.130)

* 그래서 탐욕(이라는 마음부수)에는: 갈애도 포함되고, 까마(kāma)도 포함된다고 합니다. (동영상 법문 등에서 들음)

 

2. 갈애(taṇhā)안에 까마(kāma)가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하겠습니다.

* 갈애(taṇhā)를 세 가지로 분류할 때는: 욕애(欲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 여기서 욕애(欲愛)‘kāma taṇhā’를 옮긴 말로 욕계와 많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 저는 지금까지 욕계를 한자로는 慾界라고 쓰는 줄 알았는데, 해설서나 사전 같은 데에 보니까 欲界로 나오네요.

 

3. 우선 까마(kāma)감각적 욕망으로 이해하겠습니다. , () 등에 나오는: (, , , , 몸의 다섯 감각기관과 연결된) ‘감각적 욕망으로 이해하겠습니다.

* 경문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생각을 통해서 생긴 애욕이 인간의 감각적 욕망이니 ...” (꿰뚫음 경(A6:63))

* 중국에서는 까마(kāma)()’이나 욕락(欲樂)’ 등으로 옮겼다고 합니다.

 

3-1. ‘오욕락의 원어가 ‘pañca kāmaguṇa’ 라는 것을 최근에 알게 되었습니다.

* 경문에는 이렇게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얽어매는 감각적 욕망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감각적 욕망을 짝하고 매혹적인, 눈으로 인식되는 형색들이 있다. ...” (괴로움의 무더기의 긴 경(M13))

* 찾아보니: pañca다섯, 5’. kāmaguṇa감각욕망 대상으로 나와 있네요.

* 그래서 ‘pañca kāmaguṇa’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 또는 오욕락등으로 번역하는 것 같습니다.

 

4. 이상을 토대로 저는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용어를 이제 다음과 같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1) ‘, , 가 가장 넓은 개념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2) (lobha)에는: 갈애(taṇhā), 까마(kāma)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하겠습니다.

(3) 까마(kāma): (경문에 나오는) ‘생각을 통해서 생긴 인간의 애욕이라고 정리하겠습니다.

(3)-1. , 까마(kāma): (갈애(taṇhā)가 있는데, 그 중에는 욕애(欲愛, ‘kāma taṇhā’)도 있는데, 그 욕애(欲愛) 중에서) 세상의 다채로운 대상들에 대해 - 생각을 통해서 생긴 (인간의) 애욕이라고 정리해놓겠습니다.

(4) ‘kāmaguṇa’감각적 욕망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pañca kāmaguṇa’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의 대상으로 이해하겠습니다.

(5) 응용해보기 (틀릴 수도 있습니다)

일요일에 하는 드라마를 보고 싶다(까마), / 그날 실제로 텔레비전을 켜서 볼 때 그 화면에 나오는 즐기고 좋아하는 형색(주인공, 인물 등)까마구나’. / 그리고 그것(즐기고 좋아하고 ... 하는 형색)‘pañca kāmaguṇa’의 하나로 분류하면 형색과 관련된 감각적 욕망의 대상'

일요일에 불후의 명곡음악방송을 듣고 싶다(까마) / 그날 실제로 텔레비전을 켜서 불후의 명곡방송을 들을 때 그 좋아하고 즐기는 그 음악 소리는 까마구나’ / 그리고 그것(그 좋아하고 즐기는 음악 소리)‘pañca kāmaguṇa’의 하나로 분류하면 소리와 관련된 감각적 욕망의 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