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검색하여 한문 원문과 해석을 복사해 와서 제가 좀 편집을 했습니다. 주소는 여기입니다.
http://ushg.co.kr/board/bbs/board.php?bo_table=class
강의 필기는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운영하는 사이버서원에서 권경상 선생님의 중용장구 강의를 들으며 대충 그 부분만 필기한 것입니다. 필기 중에 제가 잘못 필기했을 수도 있으며 그것은 모두 저의 잘못입니다.
중용장구 제19장입니다.
19. 子曰 武王周公은 其達孝矣乎인저
【 풀이 】 공부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무왕과 주공은 누구나 공통으로 칭송하는 효자이다.〔주〕達 : 공통【通】의 뜻
(강의 필기 : (그 기가 있고 온 호가 있으면 그 기는 ‘아마도’의 뜻. 단정 지어 이야기하고 싶지만 선인들이기 때문에 단정 짓지 않음.) 무왕과 주공은 아마도 천하 사람들이 통틀어(공통(적)으로 여기다) 효자라고 할 것이다.)
夫孝者는 善繼人之志하며 善述人之事者也니라
【 풀이 】대저 효라는 것은 조상의 뜻을 잘 계승하고 조상의 일을 잘 잇는 것이다.
(강의 필기 :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저 효라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뜻을 잘 계승하며(여기서 인(人)은 : 일반 사람으로 볼 때는 부모, 임금으로 볼 때는 선왕을 말함) (그 뜻을 잘 계승하여 성취시키는 것이 계지) 다른 사람들의 일을 잘 따라 해서 준행하는 것이다.(여기서 술은 순행의 뜻(따라하다))
春秋에 修其祖廟하며 陳其宗器하며 設其裳衣하며 薦其時食이니라
【 풀이 】봄과 가을에 선조의 사당을 수리하며, 종묘의 제기를 진열하며, 선조의 의상을 펴놓으며, 제철에 나오는 음식을 올린다.
〔주〕祖廟 : 조상의 사당, 天子는 7廟, 諸侯는 5廟, 大夫는 3廟, 適士는 2廟, 官師는 1廟이다 / 宗器 : 선대부터 소장해온 귀중한 그릇, 周나라의 赤刀, 大訓, 天球, 河圖와 같은 종류 / 裳衣 : 선조가 남긴 의복, 제사 때 펼쳐서 尸童에게 준다. / 時食 : 제철에 맞는 음식
(강의 필기 : 봄가을에 제사 지내기 전에 사당을 수리함, 누가? 유사가 함. 봄과 가을에 유사는 선조의 사당을 수리함. 주자는 말년에 가서 종기의 뜻을 수정함, 종묘에 보관되어 있는 기물도 포함시킴. 종기- 종묘에 보관된 제기와 중보(重寶, 중대한 보물) 종기를 진설하여 놓으며 후인들이 제사를 지낼 때 후인들이 공경하는 마음이 들 것이다. (지금은 신주도 지나고 지방을 모시던 시대. 예전에 신주 전에는 신주 대신에 시동이 앉아 있었음. 할아버지 제사라면 손자를 앉힘. 할아버지와 손자는 피가 통하니까 빙의가 잘 된다고 봄. 그냥 앉히는 것이 아니고 시동이 할아버지 옷을 입고 있으면 빙의가 더 빨리 된다고 봄.) 선조의 의상을 시동에게 주어서 입혀놓으며 (시식-제철 음식을 시식이라고 함) 선조가 드시던 제철 음식을 올리느니라.)
宗廟之禮는 所以序昭穆也요 序爵은 所以辨貴賤也요 序事는 所以辨賢也요 旅酬에 下爲上은 所以逮賤也요 燕毛는 所以序齒也니라
【 풀이 】종묘의 예는 소와 목을 차례대로 배열하는 것이요, 관작에 따라 서열을 정하는 것은 빈천을 분별하는 것이다. 일을 차례로 맡기는 것은 어진 사람을 분별하는 것이요, 여럿이 술을 권할 때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위하여 술을 올리는 것은 천한 사람에게까지 미치는 것이요, 제사를 마치고 잔치를 할 때 머리털의 색깔대로 차례를 정하는 것은 나이별로 서열을 정하는 것이다.
〔주〕 昭穆 : 宗廟의 次第로 왼쪽이 昭이고 오른쪽이 穆이 됨. / 爵 : 公, 侯, 卿, 大夫를 말함, 事 : 宗, 祝, 有司가 맡는 일, 旅 : 무리 려, / 酬 : 마시도록 인도하는 것, 燕毛 : 제사를 마치고 잔치를 할 때 모발의 색깔로 어른과 어린이를 구별하여 차례를 정하는 것, 齒 : 나이를 말함
(강의 필기 : 종묘의 예는 그것으로써 소와 목에 따라서 차례를 만드는 것이다. (종묘의 예는 소목에 따라서 차례하는 것이다.) 그래서 작위에 따라서 차례 하는 것은 지위의 귀천에 따라서 분별하는 것이요. (세종대왕이 있으면 세종대왕을 보필한 여러 신하들이 있다면 대개 선정을 할 때 공로가 있는 사람을 선정하고 지위에 따라 차례로 함) (문묘에 가면 공자가 가운데 계시고 좌우에 사사가 앉아 있고 십철이 있고 나머지 분들은 종향하는 사람들이다. 종향은 나이로 한다.) 일을 차례로 맡김은 현부(賢否)를 분별하는 것이고 (그 직임을 잘 수행했는가 못했는가에 따라 분별하는 것이고) 여럿이 모여서 (여기서는 음복례를 하는 것) 음복례를 할 때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잔을 올리는 것은 선조의 복이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도 미치게 하는 것이고 (윗사람이 술을 받으면 작을 해줌) 제사를 마치고 연회하는 것은 머리색을 따라서 자리에 앉는 것은 이것은 나이에 따라 차례 하는 것이다. (음복례는 제관만 참석 / 연회는 음식 한 사람, 날라준 사람들 모두가 다 참여하여 나이 순으로 하여 모두 함께 먹음)
(종묘의 차례는 태조의 신위를 기준으로 해서 왼쪽은 소가 되고 동쪽은 목이 되니 (소가 양이고 목은 음이다) 자손들도 역시 그것으로 차례가 되어서 (내가 좌우 소목에 따라서 자기 항렬이 있어서 구분이 됨. 소에서든 목에서든 조손은 같은 줄에 있음) 태묘에서 제사를 지내는 일이 있으면 자손들과 형제들이 소에 무리지어 있고 목에 무리지어 있는 것이 (좌소우목-죽은 사람의 입장에서 한 것이고, 군소군목이라고 한 것은 산 사람의 입장) 죽은 사람이나 산 사람이나 모두 묘정에 있으면서 그 차례를 잃지 않는 것이다. 작은 공후백. 신위 쪽으로 볼 때 왼쪽, 근정전에서 향남한 것을 기준으로 두어 좌청룡우백호)
(써 이는 바 소자와 같이 오면 1이유 2방법 3까닭으로 잘 쓰이지만 가끔은 써 이가 위의 말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된다(그것으로써) 종묘에서는 왕가는 사가의 촌수와는 관계 없음. 종묘에 가면 임금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임금을 배향하는 신하가 따로 있음)
踐其位하여 行其禮하며 奏其樂하며 敬其所尊하며 愛其所親하며 事死如事生하며 事亡如事存이 孝之至也니라
【 풀이 】 그 자리에 올라 그 예를 행하며, 그 음악을 연주하며, 그가 공경하던 바를 공경하고 그가 친애하던 바를 사랑하며, 죽은 사람을 섬기기를 마치 산 사람 섬기듯이 하고, 없는 사람을 섬기기를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을 섬기듯이 하는 것이 효의 지극함이다.
〔 주 〕死 : 처음 죽었을 때를 말함, 亡 : 이미 장례를 치르고 나면 돌아가 없어졌다고 하여 亡이라함, 여기에서 死와 亡은 모두 先王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강의 필기 : (그래서 이제 제사를 지내러 갑니다.) 내가 사당에 나가면 선왕이 앉아 있던 자리를 밟고 서 있어서 선왕이 행하던 예법을 행하며, ((틀린 경우가 많아서) 우리나라는 집집마다 예가 틀리다고 함. 예를 들어 아버지가 모르면 아버지 대에 좀 바뀌고 아들은 모르고 따라하고 그래서 삼대가 지나면 많이 바뀐 것이 예가 되고, 그러다가 중간에 목소리가 큰 사람이 있으면 또 바뀌고, 그러다가 또 식견이 있는 사람이 나오면 다시 국조례 등에 따라 바르게 바꾸어 놓음) 선왕들이 연주하던 음악을 연주하고, 선왕들이 존경하던 조상들을 나도 역시 공경하고, 선왕들이 친애하던 자손들을 나도 역시 사랑하며, (돌아가셨을 때 상복을 입고 섬길 때에는) 죽은 분을 섬기기를 살아 계신 분을 섬기는 것과 같이 하며, 장례를 지내고 나서 거상하는 동안 사라진 분을 섬기는 것을 살아계신 분과 같이 하는 것이 효도가 지극한 것이다.
郊社之禮는 所以事上帝也요 宗廟之禮는 所以祀乎其先也니 明乎郊社之禮와 締裳之義면 治國은 其如示諸掌乎인저
【 풀이 】 교제와 사제의 예는 상제를 섬기는 것이요, 종묘의 예는 그 조상에게 제사지내는 것이니, 교제와 사제의 예와 체제. 상제의 의의에 밝으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 위에 놓고 보는 것처럼 쉬운 일이다." 라고 하셨다.
〔 주 〕 郊社 : 郊는 하늘을 제사하는 것이며, 社는 땅을 제사하는 것임. / 褅 : 天子가 宗廟에서 지내는 큰제사.
(강의 필기 ; 상제에게 제사를 올리고 후토에게 제사를 올리는 예는(하늘에 제사지내고 땅에 제사를 드리는 것은) 상제를 섬기고 후토를 섬기는 것이고, (여기서 후토는 생략, 생문(省文)임) 종묘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선군에게 제사를 드리는 것이니, 봄과 가을로 제사지내는 예를 행하는 의리를 분명히 안다면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은 아마도 자신의 손바닥을 보듯이 알기 쉬울 것이다. (체상- 원래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사제사(四祭祀)가 있는데 둘 만 이야기한 것임. 교사에서 하늘에 지내는 것이 교, 땅에 제사지내는 것은 사)
'중용장구 간단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장구 제20장 - 2, 간단히 (0) | 2017.04.04 |
---|---|
중용장구 제20장 - 1, 간단히 (0) | 2017.04.03 |
중용장구 제18장, 간단히 (0) | 2017.03.31 |
중용장구 제17장, 간단히 (0) | 2017.03.30 |
중용장구 제16장, 간단히 (0) | 201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