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병렬(竝列 : 나란히 늘어놓음)
* 명사나 동사를 같은 무게로
나란히 벌려 놓은 경우가 있다.
* 단순한 병렬일 때, 이것은 문장이 아니다.
* 해석 요령 : ~와(과) / ~하고 ~함
3-1. 다음 낱말을 해석하시오.
1. 江山 :
2. 草木 :
3. 上下 :
4. 天地 :
5. 師弟 : (사제)
◉ 풀이
1. 江山 : 강과 산
2. 草木 : 풀과 나무
3. 上下 : 위와 아래
4. 天地 : 하늘과 땅
5. 師弟 : 스승과 제자
6. 老少 :
7. 夫婦 :
8. 見聞 :
9. 去來 :
10. 深淺 : (심천)
◉ 풀이
6. 老少 : 노인과 젊은이
7. 夫婦 : 남편과 아내
8. 見聞 : 보고 들음
9. 去來 : 가고 옴
10. 深淺 : 깊고 얕음
◉ 응용문제
11. 初中終 : (초중종)
12. 耳目口鼻 : (이목구비)
13. 身言書判 : (신언서판)
14. 紙筆硯墨 : (지필연묵)
15. 耳鼻咽喉科 : (이비인후과)
풀이
11. 初 / 中 / 終 : 처음과 / 중간과 / 마지막
12. 耳 / 目 / 口 / 鼻 :
귀와 눈과 입과 코 (얼굴 생김새)
13. 身 / 言 / 書 / 判 : 예전에, 인물을 고르는 표준으로 삼던
네 가지 조건. 《신수·말씨·문필·판단력》
14. 紙 / 筆 / 硯 / 墨 :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
(일러두기 : 15~17은 문장으로 해석하시오.)
15. 君師父一體 : 군사부일체
16. 金富軾新羅人 : 김부식신라인
17. 貴山新羅眞平王時人 : 귀산신라진평왕시인
◉ 풀이
15. 君 師 父 / 一體 :
임금과 스승과 부모는 / 한 몸이다.
16. 金富軾 / 新羅人 :
김부식은 / 신라 사람이다.
17. 貴山 / 新羅眞平王時人 :
귀산은 / 신라 진평왕 때의 사람이다.
참고 : 1. 주어 + 서술어 보충
◌ 명사(류) + 명사(류) 문장
* 한문은 명사(류)도 서술어가 된다.
*‘명사(류) + 명사(류)’가 문장을 이룰 때
앞부분은 주어로,
뒷부분은 서술어로 풀이하면 된다.
* 뒷부분은 ‘이다’를 붙여서 해석하면 된다.
◌-1. 다음을 해석하시오.
1. 孔子聖人 : 공자성인
2. 李白詩仙 : 이백시선
3. 杜甫詩聖 : 두보시성
4. 天下神器 : 천하신기
◌ 풀이
1. 孔子 / 聖人 :
공자는 / 성인이다.
2. 李白 / 詩仙 :
이백은 / 시선(시의 신선)이다.
3. 杜甫 / 詩聖 :
두보는 / 시성(시의 성인)이다.
4. 天下 / 神器 :
세상은 / 신령스런 기물이다.
5. 桑田碧海 : 상전벽해
6. 齊楚大國 : 제초대국
7. 吾鼻三尺 : 오비삼척
8. 吳起者衛人 : 오기자위인
◌ 풀이
5. 桑田 / 碧海 :
뽕 밭이 / 푸른 바다가 되다.
6. 齊楚 / 大國 :
제나라와 초나라는 / 큰 나라다.
7. 吾鼻 / 三尺 :
내 코가 / 석 자이다.
8. 吳起者 / 衛人 :
오기라는 사람은 / 위나라 사람이다.
◌-2. 다음 문장을 해석하시오.
9. 江山萬古屛 : 강산만고병
10. 東西日月門 : 동서일월문
11. 南北鴻雁路 : 남북홍안로
12. 孔子名丘字仲尼 : 공자명구자중니
◌ 풀이
9. 江山 / 萬古屛 :
강과 산은 / 만고(한없는 세월)의 병풍“이다”.
10. 東西 / 日月門 :
동쪽과 서쪽은 / 해와 달의 문“이다”.
11. 南北 鴻雁路 :
남쪽과 북쪽은 기러기의 길“이다”.
12. 孔子 / 名丘字仲尼 :
공자는 / 이름이 구‘이고’ 자는 중니‘이다.’
'기초한문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등록 : 6. 서술어 + 보어 / 7. 놈 자(者) (0) | 2019.11.15 |
---|---|
재등록 : 4. 서술어를 수식 / 5 서술어 + 목적어 (0) | 2019.11.13 |
재등록 : 1 주어 + 서술어 / 2 명사 수식 (0) | 2019.11.11 |
기초한문문법 (0) | 2017.12.09 |
참고3. 사이버서당에서 배운 것, 한시(漢詩)의 기초 (0) | 2017.07.09 |